증권 국내증시

자본硏 "증시, 긴축충격은 2개월…과민반응 경계해야"

美금리 예상보다 100bp뛰면 코스피 8%↓

기준금리 75bp 올리면 주택가격 1.6%p↓

장보성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이 7일 온라인에서 열린 통화정책과 금융여건 변화가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사진=자본연 유투브장보성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이 7일 온라인에서 열린 통화정책과 금융여건 변화가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사진=자본연 유투브




“긴축이 주식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1~2개월 단기에 그치고 중장기 경로를 바꾸지 못합니다. 통화정책 변화에 대한 과민 반응을 경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장보성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4일 열린 ‘통화정책과 금융여건 변화가 자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장 연구위원은 지난 2000년 1월부터 올해 1월까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1회 인상하고, 26회 인하했다고 분석했다. 장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상시 코스피지수의 하락 빈도가 15회, 상승 빈도가 6회로 하락이 더 빈번했지만, 낙폭(-0.38%)은 미미했다”며 “기준금리 인하시 코스피지수가 상승한 빈도는 12회, 하락한 빈도는 14회로 대칭적이었다”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어 그는 “광의통화(M2)가 0.2% 감소하는 긴축 충격 발생시 코스피지수는 약 2%안팎으로 하락했다"며 “경기와 상관관계가 높은 정보기술(IT), 산업재, 소재, 경기소비재 업종의 하락폭이 비교적 컸다”고도 분석했다. 하지만 1~2개월 뒤에는 통화정책 변경 전의 주가를 회복하면서 중장기 경로를 변경하지는 못한 점이 특징적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 폭이 예상보다 100bp(1bp=0.01%포인트) 높으면 코스피지수에 8%가량의 조정이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장 연구위원은 “다만 현실에서는 상황 전개에 따라 상방 및 하방 충격이 모두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며 “통화 정책에 과민 반응하기보다 실물 경제 상황에 주목하며 리스크에 대응해 나가는 것이 보다 유익하다”고 조언했다.

정화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날 세미나에서 통화정책이 주택시장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했다. 그는 기준금리가 0.75%포인트 오르면 4년 뒤 전국 실질 주택가격상승률이 1.6%포인트 낮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6개 광역시(-1.8%포인트)가 서울(-1.6%포인트)에 비해 금리 인상 영향이 컸고, 단독주택과 연립주택은 모두 1.7%포인트 떨어지는 것으로 추정돼 아파트(-1.4%포인트)보다 민감도가 높았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 주택 가격의 상방 위험이 고조됐지만 정부의 가계대출 총량관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주택 가격의 오름세는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정 연구위원은 “상방 리스크가 커진 현 시점에서는 대출 총량관리 조치가 금리 인상보다 가격 억제에 효과적”이라며 “가계 대출 총량관리 조치도 점진적으로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승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