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현대차, 드디어 '중고차' 판다…"5년·10만㎞내 인증매물"

■중고차 사업 전략 발표

엄격한 검사로 신차수준 품질 제공

시장 투명성 위해 통합 포털 개설

견적·계약·출고·배송까지 원스톱

모바일 판매 채널도 함께 운영키로

시장점유율 올 2.5%로 자체 제한





현대자동차가 출고 5년 이내 10만 ㎞ 이내의 자사 중고차를 사들여 품질을 인증한 후 되파는 ‘인증 중고차’ 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중고차 업계와의 상생 및 소비자 권익 향상을 위해 중고차 정보 포털 사이트를 개설하고 자체적으로 시장점유율을 제한하는 상생안도 내놓았다.



현대차는 7일 이 같은 내용의 ‘중고차사업 비전과 사업 방향’을 공개했다. 현대차는 성능 검사와 수리를 거친 인증 중고차만 시장에 공급하기로 했다. 인증 대상은 5년, 10만 ㎞ 이내의 자사 브랜드 차량이며 국내 최대 수준인 200여 개 항목의 품질 검사를 실시한다. 그 이후 이 차량을 신차 수준의 상품성 개선 과정을 거쳐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대차는 총 3단계에 걸친 중고차 품질 검사와 인증 체계(매집 점검-정밀 진단-인증 검사)를 마련하고 ‘인증 중고차 전용 하이테크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고객이 기존에 타던 차량을 현대차에 매각하면 신차 구매시 할인을 제공하는 보상 판매인 ‘트레이드 인’ 프로그램도 선보인다. 수입차 업체처럼 현대차 고객도 기존 중고차 매각과 신차 구입을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길이 열리는 셈이다.

현대차는 중고차 시장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중고차 정보를 수집·분석한 후 종합해서 보여주는 ‘중고차 통합정보 포털(가칭 중고차 연구소)’도 구축한다. 중고차 시장의 구조적 문제인 ‘정보 비대칭성’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는 게 현대차 측의 설명이다.



통합 정보 포털에서는 중고차의 성능·상태 통합 정보와 적정 가격 산정, 허위·미끼 매물 스크리닝, 모델별 시세 추이 및 판매 순위 등의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 ‘내차 시세 서비스’를 통해 적정 가격을 투명하게 제공해 소비자들이 허위·미끼 매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모바일 중심의 중고차 판매 채널도 운영한다. 모바일 채널에서는 상품 검색과 비교에서부터 견적과 계약·출고·배송에 이르기까지 구입 전 과정이 원스톱으로 진행된다. 고객이 가상 전시장에서 중고차를 계약하면 집 앞 등 원하는 장소로 배송도 가능하다. 가상 전시장에서 차량을 직접 체험하는 것과 같은 실체감을 제공하기 위해 오감 정보 서비스와 인공지능(AI) 컨시어지 서비스도 제공된다.

중고차 업계의 반발을 의식해 자체 상생안도 내놓았다. 비록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지난해 완성차 업계와 중고차 업계가 논의한 상생안을 준수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인증 중고차 대상 이외의 매입 물량은 경매 등을 통해 기존 중고차 매매 업계에 공급하고 시장점유율도 올해 2.5%를 시작으로 2023년 3.6%, 2024년 5.1%로 자체 제한하기로 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완성차 업계가 중고차 시장에 진출하면 시장에 대한 전체적인 신뢰가 높아져 중고차 수요 증가와 시장 규모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소벤처기업부는 대선 이후인 다음 주 중 중고차 시장의 생계형 적합 업종 지정 여부를 논의하기 위한 심의위원회를 개최한다. 업계에서는 중기부가 여론을 의식해 중고차 사업을 생계형 적합 업종에 지정해달라는 중고차 업계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되 시장점유율 제한 등의 조건을 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현대차의 중고차 가상전시장 VR 시승체험 콘셉트. 사진제공=현대차현대차의 중고차 가상전시장 VR 시승체험 콘셉트. 사진제공=현대차


현대차 중고차 통합정보 포털 콘셉트. 사진 제공=현대차현대차 중고차 통합정보 포털 콘셉트. 사진 제공=현대차


김능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