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3차 접종자 계절독감 수준…미접종자는 치명률 6배"

중수본 "3차 맞은 60세 미만 사망 0명…치명률 0.07%"

부스터샷 맞은 60세 이상도 치명률 0.52%로 낮아져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이 지난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비대면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이 지난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비대면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3차까지 접종받은 뒤 오미크론에 확진된 60세 미만 환자 중 사망자가 0명이라고 밝혔다. 오미크론 변이의 전 연령대 치명률은 0.09%로 계절 독감 수준이지만, 백신 미접종자의 경우에는 치명률이 계절 독감의 6배에 달했다.



7일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3차 접종 완료자의 오미크론 치명률은 0.07%로 계절독감(0.05∼0.1%) 수준이며, 이 중 60세 미만만 보면 치명률이 0%라고 밝혔다.

고위험군에 속하는 60세 이상도 3차 접종까지 마친 경우에는 치명률이 0.52%로, 60세 이상 미접종자 치명률(5.53%)의 10% 수준이다. 반면 전체 미접종자 치명률은 0.6%로 계절독감보다 약 6배 높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3차 접종완료자는 계절독감 치명률과 유사하지만, 미접종자는 계절독감의 6배 수준, 특히 60세 이상에서는 미접종자 치명률이 3차 접종 완료자보다 10배 커진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손 반장은 "미접종자는 아무리 오미크론이라고 해도 계절독감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치명률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에 접종받으라고 권고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중수본은 지난달 첫째 주 0.1%였던 코로나19 주간 치명률이 지난달 셋째 주에 0.09% 수준까지 낮아졌다고 분석했다. 방역 당국은 이런 치명률도 오미크론의 실제 치명률보다는 고평가된 것으로 보고 있다. 오미크론 감염이 아닌 기존 기저질환 등이 주요 사망요인인 경우에도 코로나19 사망자로 분류되면서 치명률이 실제보다 높게 집계됐을 수 있다는 것이다.

손 반장은 "최근 오미크론 유행이 워낙 많아(커)서 오미크론 악화로 인한 직접적 사망요인 외에 오미크론(감염)이 동반된, 다른 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분류하기 어려워 오미크론 사망자에 포함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3주간 오미크론 치명률은 0.1% 수준“이라며 "오미크론 우세종화 상황에서 주간 치명률이 계절독감과 유사해지는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총사망자 수는 9096명으로 누적 치명률은 0.19%다. 계절독감의 치명률은 대략 0.05∼0.1%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는 오미크론보다 치명률이 높았던 델타 변이 유행 당시의 사망자까지 모두 포함한 것으로,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화한 이후의 최근 주간 치명률은 이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당국은 대다수의 국민이 접종을 완료한 만큼 이제 미접종자가 스스로 감염 예방을 위해 노력하는 체계로 바뀌었다며 예방접종을 재차 권고했다. 손 반장은 "전 국민 86% 이상, 18세 이상은 96%까지 2차 접종을 완료했다"며 "모든 사회구성원이 희생해서 미접종자를 보호하는 체계가 아니라 미접종자가 접종받고, 감염이 안 되도록 스스로 노력하는 체계로 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날 0시 기준 백신 접종 완료율(기본접종을 마친 비율)은 이날 0시 기준 86.5%(누적 4439만4243명)이다. 3차 접종은 전체 인구의 62.0%(누적 3180만2879명)가 마쳤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