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투표 전날 '尹 여가부 폐지' 꼬집은 文…"MB도 2년 뒤 복구"

"DJ, 여성부 없어지는 그날을 위한 부처라 강조"

"젠더갈등으로 오해…여성만을 위한 부처 아냐"

"차기 정부, 업무 발전시켜야…성평등 크게 부족"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영상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8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영상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선 본투표를 하루 앞두고 문재인 대통령이 여성을 겨냥한 메시지를 잇따라 쏟아냈다. 문 대통령은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국무회의에서 여성가족부의 과제에 대해 보고를 받고 김대중·노무현 정부까지 거론하며 업무를 더 발전시켜야 한다고 역설했다. 특히 측근 중 ‘친(親)이명박계’가 많은 데다가 최근 여성가족부 폐지를 공약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를 겨냥한 듯한 메시지도 내놓아 관심을 끌었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이 8일 국무회의에서 정영해 여성가족부 장관에게 ‘여성가족부의 성과와 향후 과제’를 보고받았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이번 대선에서 여성가족부의 명칭이나 기능 개편부터 폐지에 이르기까지 여가부와 관련된 공약이 뜨거운 쟁점이 되고 있다”며 “여가부는 김대중 정부 때 여성부로 출발했다. 여성부 신설 당시 김대중 대통령은 ‘여성부는 여성부가 없어지는 그날을 위해 일하는 부서’라고 말씀하셨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이어 “노무현 정부는 여성부의 업무를 더 확대했다. 복지부가 관장하던 가족과 보육 업무를 여성부로 이관했고 명칭을 ‘여성가족부’로 변경했다”며 “이명박 정부는 당초 여가부 폐지를 추진했다가 우여곡절 끝에 가족과 보육 업무를 복지부로 다시 이관하고 명칭을 ‘여성부’로 바꾸며 역할을 크게 축소했다. 그렇지만 2년 뒤 이명박 정부는 복지부에 이관했던 가족과 보육 업무에 더하여 청소년 정책까지 여성부로 이관하며 간판을 다시 ‘여가부’로 바꿨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여가부가 역할을 조금씩 강화해 왔다는 점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여가부는 지난 20년간 많은 성과를 냈고 더 발전시켜 나가야 할 과제들도 많다”며 “여가부가 관장하는 여성정책과 가족정책, 청소년정책, 성폭력·가정폭력으로부터의 보호 등의 업무는 현대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것이 시대적 추세이고 세계적인 흐름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이른바 젠더 갈등이 증폭되면서 여가부에 대한 오해도 커졌다. 그렇게 된 데는 여가부 자신의 책임도 적지 않다”며 “여가부가 하는 일, 역할부터 오해가 많다. 여가부는 올해 예산 규모가 1조4600억 원으로 정부 전체 예산의 0.24%에 불과한 매우 작은 부처다. 결코 여성만을 위한 부처가 아니다. 오히려 양성평등 관련 예산은 여가부 예산에서도 7% 남짓으로 매우 적다. 한부모 가족 지원, 아이돌봄서비스 등 가족정책에 62%의 예산을 쓰고 있고 청소년 정책 19%, 권익증진 9%가 그 뒤를 따른다”고 소개했다.

문 대통령은 차기 정부를 거론하며 “여가부의 역할이나 명칭, 형태 등에 관해 새로운 구상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여가부의 운명이 어떻게 결정되든 여가부가 관장하는 업무 하나하나는 매우 중요하고 더욱 발전해 나가야 한다는 점”이라고 역설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전 여성직원에게 장미꽃을 선물하기도 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는 “우리나라는 국가발전 정도에 비해 성평등 분야에서는 크게 뒤떨어져 있다”며 “우리 정부에서 적지 않은 진전이 있었지만 아직도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여성들에게 유리천장은 단단하고 성평등을 가로막는 구조와 문화가 곳곳에 남아 있다”며 “다음 정부에서도 계속 진전해 나가길 기대한다. 여성이 행복해야 남성도 행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