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브릿지바이오, 섬유화 질환 신약 후보물질 기술 도입

셀라이온바이오메드와 옵션 계약

총 290억원 규모 'BBT-301' 개발

지난해 매출 19억원·영업손실 264억원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288330)는 8일 셀라이온바이오메드로부터 특발성 폐섬유증(IPF) 포함 섬유화 질환 및 기타 다양한 적응증 타깃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규 후보물질(BBT-301)에 선행연구 우선권을 확보하는 옵션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브릿지바이오는 이번 계약을 통해 도입한 ‘BBT-301’은 이온채널 조절제로, 세포막에 존재하는 특정 이온 채널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조절해 세포와 조직의 섬유화(Fibrosis)를 저해하는 효과를 보인다.



브릿지바이오는 우선권(옵션) 확보 기간 동안 BBT-301에 대한 추가적인 기전과 효력 연구를 거쳐, 연내 전임상 개발 완료하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시험계획(IND) 제출을 목표한다. 아울러, 양사간의 공조를 통해 다양한 질환 가운데 BBT-301이 효율적인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추가 적응증도 발굴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번 계약에 따라 브릿지바이오는 옵션 확보를 위한 비용 5억 원을 비롯해 향후 임상 및 허가 단계별 중도기술료(마일스톤)를 셀라이온바이오메드에 지급하게 된다. 총 계약 규모는 최대 약 290억 원이다. 상용화 단계에 이를 경우 순매출에 따른 경상기술료(로열티)를 지급하게 된다. 브릿지바이오는 옵션 보유 기간에 수행한 선행 연구 결과에 따라 최종적으로 옵션행사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옵션 행사 시 BBT-301에 대한 전세계 전용 실시권을 취득하게 된다.

이정규 브릿지바이오 대표는 “당사의 특발성 폐섬유증 신약 개발 경험을 토대로 광범위한 섬유화 질환에서 높은 안전성과 효력을 나타내는 신규 치료제의 발굴 및 개발을 지속 진행할 계획”이라며 “BBT-877을 필두로 전세계적 미충족 의료 수요가 큰 특발성 폐섬유증을 포함하는 섬유화 질환 분야에 전략적으로 집중해 신약 파이프라인을 한층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김성진 셀라이온바이오메드 대표는 “국내 바이오텍 협업을 기반으로 괄목할만한 혁신 신약 개발 사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원발굴사로서 적극적인 지원 및 협력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브릿지바이오는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2021년 매출액은 19억 원으로 전년(63억 원)에서 70%가 줄어들었다. 영업손실은 264억 원으로 전년(196억 원)보다 적자폭이 커졌다. 브릿지바이오는기술이전 사업 모델 유동성에 따른 매출액 감소, 경상연구 개발비 증가, 연구개발진 확보에 따른 스톡옵션 부여 등을 실적 변동의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이재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