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맥도날드·스타벅스도 러시아 떠난다…불매운동에 운영 중단 선언

코카콜라·펩시콜라 이어 얌브랜즈 등도 가세

맥도날드가 8일(현지시간) 러시아 내 매장 운영을 잠정 중단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트위터 캡처맥도날드가 8일(현지시간) 러시아 내 매장 운영을 잠정 중단한다는 방침을 발표했다./트위터 캡처




러시아에서 영업을 지속하다 불매(보이콧) 운동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맥도날드, 코카콜라, 스타벅스 등 세계적인 대기업들이 결국 러시아를 떠난다.

8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크리스 켐프친스키 맥도날드 최고경영자(CEO)는 직원들과 가맹점주들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러시아 내 850개 점포에서 영업을 일시 중단하기로 했다”며 “맥도날드는 상황을 계속 평가해 추가 조치가 필요한 지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맥도날드는 문을 닫더라도 러시아 내 종업원 6만2000명에게는 급여를 계속해서 지급할 방침이다. 우크라이나에서도 100여개 매장의 문을 잠정적으로 닫는다. 맥도날드는 우크라이나 직원들에게도 급여를 계속 지급하고 500만달러를 종업원 원조기금으로 기부하기로 했다.



맥도날드는 구소련 붕괴 직전 처음으로 모스크바에 매장을 열고 32년간 러시아 매장을 운영해왔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도 영업을 지속하면서 SNS를 중심으로 맥도날드에 대한 보이콧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관련기사



아울러 세계 최대 커피 체인 스타벅스도 러시아에서 모든 영업활동을 중단한다. CNBC 등 미 언론은 스타벅스의 러시아 내 영업 중단으로 제품 공급도 함께 중단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스타벅스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모두 130여개의 매장을 운영 중이지만 직영 매장은 단 한 군데도 없다고 미 언론은 덧붙였다. 케빈 존슨 스타벅스 CEO는 별도의 성명을 내고 “우리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이유 없고 부당하며 끔찍한 공격을 규탄한다”며 러시아 사업에 대한 로열티를 우크라이나의 구호단체에 기부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코카콜라와 펩시콜라도 러시아 시장에서 영업을 중단하기로 했다. 코카콜라의 스위스 자회사가 러시아에 공장 10개를 소유하고 있다고 AP통신 등 외신은 보도했다. 코카콜라는 성명을 통해 “우크라이나에서 일어난 비극적 사건의 여파로 고생하는 모든 사람에게 위로를 보낸다”며 “러시아 내 영업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펩시의 광고가 모스크바에 위치한 한 맥도날드 점포의 표지판 위에 놓여 있다./AFP 연합뉴스펩시의 광고가 모스크바에 위치한 한 맥도날드 점포의 표지판 위에 놓여 있다./AFP 연합뉴스


미국 식음료 회사 펩시는 펩시콜라와 7up, 미란다 등 탄산음료 브랜드에 대한 러시아 영업 중단을 선포했다. 다만 유아식, 우유, 기타 유제품 등의 필수 제품은 러시아에서 계속 판매한다.

앞서 피자헛과 KFC, 타코벨 등의 브랜드를 보유한 미국 외식 업체 얌 브랜즈는 핵심 시장인 러시아에 대한 투자 중단 방침을 전한 바 있다. 얌 브랜즈는 현재 운영 중인 지점에 대한 영업을 중단할 것인지는 즉각 밝히지 않았다. 얌 브랜즈는 러시아 내에서 1000여개 KFC 매장과 피자헛 50개 지점을 보유하고 있다. 얌 브랜즈는 “전 세계 많은 사람처럼 우리도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지는 비극적인 일들에 충격을 받았다”며 “러시아에서 얻은 모든 이익을 인도주의적 지원을 위해 사용할 것”이라고 전했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