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허니문 랠리?…"대외변수가 더 중요"

[역대 대선 이후 증시 향방은]

임기 1년차 코스피 상승률 들쭉날쭉

진보·보수 상관없이 교역여건이 변수

지정학적 리스크·글로벌 경기가 관건





20대 대통령 선거 이후 국내 증시의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과거 대선보다 대외 변수의 국내 증시 영향력이 높아진 상황이어서 이번 대선 결과가 증시의 방향 자체를 결정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무엇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지정학적 위기가 지속되고 있고 국제 원자재 가격의 고공 행진으로 인한 긴축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증시 변동성이 잦아들기는 어렵다는 진단이다. 전문가들은 국내 경제에서 더 이상 대선 이벤트 자체가 변곡점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라면서도 정책 공약에 따른 세부적인 업종별 흐름을 지켜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9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과거 14대였던 김영삼 대통령부터 19대 문재인 대통령까지 살펴보면 대선 전후 일주일간 증시에서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못했다. 대선 전 일주일 증시는 2번(15대·18대)을 제외하고 4번은 상승세를 보였다. 마이너스를 보였던 김대중 정부는 외환위기 사태라 부침을 겪었고 이명박 정부 역시 글로벌 금융위기로 증시가 부진할 때였다. 선거 이후 일주일간 수익률은 6번 중 3번(15대·16대·18대)이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플러스 수익률을 냈던 정부도 0.1~2.4% 수준에 불과했다.

관련기사



임기 1년차의 코스피지수 수익률은 3번은 마이너스를, 3번은 플러스를 기록했다. 14대 고(故) 김영삼(+38.5%)·16대 고(故) 노무현(+40.3%)·19대 문재인(+6.6%) 대통령의 임기 첫해는 주가가 올랐으나 15대 고(故) 김대중(-7.9%)·17대 이명박(-36.9%)·18대 박근혜(-3.5%) 대통령의 경우에는 내렸다. 진보와 보수의 구분이 없이 대외 여건에 따라 들쑥날쑥했던 셈이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그동안 정권별로 공약과 정책 간 차이가 뚜렷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당과 후보 간 차이가 시대의 흐름을 벗어나지 못했다”며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추세적으로 하락세를 보이며 증시는 대선 전 3개월간 부진하다가 6~12개월 이후 점차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5년 임기 전체로 보면 주식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글로벌 교역 여건이었다. 임기 동안 가장 높은 증시 상승률을 기록한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으로 5년간 총 160%가 올랐다. 노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은 지난 2000년 들어 전 세계적으로 신자유주의 교역 질서가 자리 잡은 시기로 수출 주도의 우리 경제에 가장 우호적인 여건이 조성됐다. 이후 금융위기의 충격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로 인해 교역 여건이 악화됐고 이제는 자동차·화학·조선·정유 등 산업재 주도의 대규모 수출 호황은 다시 오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수출 기업 위주인 국내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의 이익 성장률 역시 꺾이면서 코스피는 이 대통령 이후 장기 박스권에 갇혔다.

전문가들은 이번에도 대선 결과에 대한 기대감보다는 대외 환경에 주목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현재 시장의 방향을 결정할 변수는 유가와 다음 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의 결과라고 입을 모았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미디어컨텐츠본부 본부장은 “증시는 대선보다는 우크라이나의 지정학적, 경기 침체 이슈 등이 더 크게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FOMC 회의에서 매파로 작용할 경우 조정의 시기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누가 승리하느냐가 증시 전체의 방향성을 좌우하지는 못해도 새 대통령의 정책에 따른 업종별 영향은 뚜렷이 나타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야 후보 모두 신기술 투자업과 경기활동 재개(리오프닝)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정책을 내놓은 바 있다. 아울러 방역 완화에 동의하며 경기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확대되면서 리오프닝 테마주도 수혜주로 거론됐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당선되면 유틸리티(원전), 산업재나 소재·건설주 등이 유망할 것으로 예측된 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친환경과 게임 업종이 유리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성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대선과 주식시장을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후보자의 공약과 정책이 어떻게 구체화될지 집중해야 한다”며 “추가적으로 고민해야 할 부분은 공약의 실현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박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