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탄소중립 팔걷은 서울시, 올 15만채 저탄소건물로

공공·민간 에너지 효율 개선

2026년까지 100만채 목표

공사비·컨설팅 등 적극 지원





서울시가 올해 서울 시내 공공·민간 건물 15만채를 대상으로 탄소 배출량 감축에 나선다. 오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2026년까지 5년간 10조 원을 투자한다는 내용으로 지난 1월 발표한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의 이행 방안이다. 서울시는 2019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69%를 차지하는 건물 부문에서 친환경 보일러 도입·단열 보강 등으로 노후 건물 100만채를 저탄소건물로 전환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핵심 대책 중 하나인 저탄소건물 확산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10일 밝혔다. 우선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의 ‘에너지 성능 개선 사업’을 통해 공공주택 2만 1400가구의 노후 보일러와 형광등을 에너지 효율이 높은 친환경 콘덴싱 보일러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으로 교체한다.



준공 15년 이상의 영등포구 동심경로당, 성동구 사근 제1경로당을 포함한 13곳의 구립 경로당은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한 ‘제로에너지건물‘ 수준으로 만든다. 올해 공사를 완료하고 2026년까지 321곳으로 확대한다는 목표다. 어린이집과 의료 시설에는 단열 성능을 높이고 창호 및 냉·난방기를 교체하는 ‘그린리모델링 사업’을 진행한다. 올해는 강남구 선우어린이집을 포함한 어린이집 81곳과 서울 동부병원 등 의료 시설 4곳이 대상이며 올해 중 공사를 완료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시가 관리하는 공공 건물에 대해서는 남산창작센터, 중부·북부기술교육원, 탄천물재생센터 등 24개 건물을 대상으로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다. 업무용 건물, 복지관, 미술관, 박물관 등 준공 20년이 지난 1874개는 오는 6월까지 전수 조사를 진행하고 연차별 계획에 따라 에너지 효율 개선을 추진한다.

민간 부문에서는 준공 후 10년이 경과한 노후 건물에 단열 창호·단열재 설치처럼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공사 비용을 주거용 건물은 6000만 원, 비주거용 건물은 20억 원 한도에서 80~100%를 무이자 융자로 지원한다. 8년 이내 원금 균등 분할상환 조건이다.

시청 서소문청사 1동 기후에너지정보센터에는 가칭 ’건물에너지플러스지원센터‘를 설치해 이달 29일부터 운영한다. 센터는 건물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컨설팅도 지원한다. 관련 기업들과 협업해 단열 창호, 단열재처럼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제품을 전시하고 시공 방법도 체험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친환경 건물에 대한 인식 전환 및 공감대 형성을 위해 브랜드 개발과 국내·외 녹색 건축 인증제와 연동한 ‘서울형 저탄소 건물 인증’ 도입도 추진한다.

유연식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은 민간 영역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달성 가능하다”며 “공공 건물 그린리모델링 사업 추진과 더불어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혜택을 확대하고 사업 홍보와 안내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