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젠더·지역갈등 얼룩진 대선…'세대포위론'과도 결별해야

2030 남녀 표심은 정반대…성대결 공약 역풍

여가부 개혁은 '존폐' 아닌 '기능강화'로 가야

尹 호남 득표 미흡…균형 인사·균형 발전 필요

/ 사진제공=KBS/ 사진제공=KBS




초접전으로 치러진 20대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우리 사회에 내재한 각종 갈등 구조가 여과 없이 표면화돼 국민의 마음에 적지 않은 상처를 남겼다. 특히 지역·젠더·세대별 충돌이 심화돼 오는 5월 출범할 윤석열 정부가 갈등을 아우를 통합의 해법을 준비해야 한다는 제언들이 이어지고 있다.



10일 서울경제가 방송 3사 출구조사를 분석한 결과 2030 세대에서는 성별에 따라 예상 득표율이 명확하게 갈려 청년 세대의 젠더 갈등 구조가 확인됐다. 20대 남성에서 윤 당선인의 예상 득표율은 58.7%로 이 후보(36.3%)에 비해 22.4%포인트 높았다. 윤 당선인은 30대 남성에서도 52.8%의 지지를 받아 이 후보에 앞섰다. 반면 2030 여성은 이 후보(20대 여성 58%, 30대 여성 49.7%) 지지세가 강했다. 윤 당선인은 20대 여성에게는 33.8%, 30대 여성에게는 43.8%의 지지를 확보하는 데 그쳤다.

관련기사



세대 구도도 여전했다. 이 후보는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4050에서 성별과 무관하게 우위를 보였다. 50대(52.4%)에서도 과반이 넘는 지지율을 확보하는가 하면 40대의 경우 60.5%의 예상 득표율을 기록했다. 윤 당선인은 60대 이상(67.1%)의 압도적 지지를 받았다.

이에 대해 박상병 인하대 교수는 “윤 당선인이 (여성 등의) 반감을 달래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국민 통합을 위해 공약해온 것들을 물릴 경우 지지층에서 역풍이 불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유창선 정치 평론가는 특정 성별보다 전체를 아우르는 국정 운영을 당부했다. 그는 “남성 지지층에만 집중해 국정을 운영하면 문재인 정부가 지지층 중심 정치로 실패했던 것을 되풀이하게 될 것”이라며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세대포위론’과 결별하고 포용적인 자세를 취하라”고 주문했다.

따라서 향후 윤 후보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젠더 정책에 대한 유연한 대처가 요구될 전망이다. 특히 여성가족부 개혁 문제는 기능 강화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부처 존폐보다 불요불급한 사업을 조정해 행정 효율성을 개선하는 방식이다.

이번 선거에서 지역 구도는 다소 완화됐으나 근본적인 장벽은 여전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영남에서 선전했으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경우 호남에서 10%대 득표에 그쳤다. 이를 해소하려면 새 정부 주요직 인선 시 호남 등 소외 지역 인사를 적극 중용하고, 호남권에 대한 인프라 확충과 산업 활성화 대책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주재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