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13~17세 여성·18~26세 저소득층 여성도 자궁경부암백신 무료 접종

그림 제공=질병관리청그림 제공=질병관리청




오는 14일부터 13~17세 여성 청소년과 18~26세 저소득층 여성도 무료로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한 인유두종바이러스감염증(HPV)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질병관리청은 기존 12세를 대상으로 하던 HPV 접종 국가지원 대상을 13~17세 여성 청소년과 18~26세 저소득층 여성까지로 확대한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따라 2009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 사이 출생자인 12세 이외에도 2004년 1월 1일~2008년 12월 31일 출생 여성 청소년 29만 명, 18~26세(1995년 1월 1일∼2003년 12월 31일 출생자) 저소득층 여성 10만 명이 새로 국가지원을 받게 됐다.

관련기사



지원 대상은 출생연도 기준이다. 1995년생은 올해 1차 예방접종 후 2, 3차 접종 일자가 내년으로 넘어가더라도 첫 접종일자로부터 12개월 이내라면 비용이 지원된다. 이미 접종을 받았다면 기접종 건에 대해서는 소급 적용되지 않으며, 남은 접종 횟수를 지원받는다.

저소득층의 경우 접종 당일 기초생활보장 급여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확인 서류를 보건소나 지정의료기관에 제출하면 된다. 지원 백신은 HPV 2가·4가 백신 두 종류다. 질병청은 “HPV 백신의 경우 4가는 만 9∼26세, 2가는 9∼25세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 연령 범위가 넓기 때문에 대상 연령 확대 요청이 꾸준히 있었다”며 “특히 HPV 백신이 타 백신보다 고가이므로, 저소득층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HPV 예방접종은 연령과 백신 종류에 따라 접종 횟수와 간격이 다르다. HPV 2가 또는 4가 백신을 처음 접종한 나이가 만 9∼14세인 경우, 1차 접종 기준으로 6∼12개월 이내에 2차례 접종을 받아야 한다. 만약 만 14세에 첫 접종을 받아 2차 접종 시기가 만 15세 이후로 늦춰졌다고 해도 접종은 총 2회로 끝난다. 1차 접종 연령이 만 15세 이상일 경우에는 총 3차례 접종을 받게 되는데, HPV 2가 백신은 첫 접종 후 1개월 후, 2차 접종 후 6개월 간격으로 접종한다. HPV 4가 백신은 각각 2개월 후, 6개월 후 접종을 받아야 한다.

방역 당국은 HPV 예방접종 시, 자궁경부암을 비롯해 구인두암, 항문-생식기암으로 진행할 수 있는 HPV 감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지만, 감염된 후에는 접종으로 바이러스가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감염 전에 접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2019년에 3273명이 자궁경부암으로 진단을 받았고, 898명이 같은 질환으로 사망했다”며 “더 많은 여성과 청소년들의 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HPV 예방접종을 받아달라”고 당부했다.


왕해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