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기업의 이익은 사회로 환원" 유한양행 창업자 故 유일한 박사 영면 51주기

1971년 3월 11일 향년 75세 나이로 영면

‘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천으로 사회에 귀감

유한양행 창업자 故 유일한 박사. 사진 제공=유한양행유한양행 창업자 故 유일한 박사. 사진 제공=유한양행




1971년 오늘 한국 기업사에 모범을 남긴 유일한 박사가 영면했다. 향년 75세의 나이였다.

故 유일한 박사는 일찍부터 기업의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고 기업경영으로 축적한 부를 사회에 환원한 인이다. 사회 고위층에게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도덕적 의무인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며 우리 사회의 진정한 참 기업인으로 인정받았다. 최근 IT 기업 리더의 재산 기부가 이어지는 가운데 반세기에 앞서 우리 사회의 기부 문화가 뿌리 내리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9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미국 유학을 떠난 유일한 박사는 미국에서 거든 큰 성공을 뒤로 하고, 31세가 되던 1926년에 귀국해 유한양행을 설립했다. 국민건강 향상과 교육을 통한 기술 인재를 양성하겠다는 일념에서다.

관련기사



유 박사는 ‘기업은 사회의 것’이라는 일념으로 1936년 유한양행을 주식회사 체제로 전환하고, 1939년 국내 최초로 종업원 지주제를 채택했다. 1962년에는 국내 두 번째로 기업공개를 단행했고 1969년에 일찌감치 경영권 상속을 포기하고 전문경영인에게 사장직을 물려주었다. 유한양행은 1969년 이후 53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평사원 출신의 전문경영인을 선출하고 있다. 현재 약 1900여 명의 유한양행 임직원들 중 유일한 박사의 친인척은 단 한 명도 없다.

이처럼 기업의 소유와 경영을 분리한 유일한 박사는 ‘기업에서 얻은 이익은 그 기업을 키워 준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원칙 하에 기업 이윤을 나라 발전을 위한 인재 양성에 투자했다. 장학 및 교육사업 전개에도 힘썼다. 유일한 박사는 사망 후 공개된 유언장을 통해서도 우리 사회에 귀감이 됐다.

장남 유일선 씨에게는 “대학까지 졸업시켰으니 앞으로는 자립해서 살아가라”는 유언과 함께 유일선 씨의 딸이자 자신의 손녀인 유일링(당시 7세) 양의 학자금으로 1만 달러만 남겼다. 딸 유재라 씨에게는 학생들이 뛰놀 수 있도록 유한중·공업고등학교 일대의 땅 5000평 등을 상속했는데, ‘소유 주식을 비롯한 모든 재산들은 사회 사업과 교육 사업에 쓰도록 하라’고 유언을 남겨 많은 이들을 숙연케 했다.

작고한지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는 CIA의 비밀문서 공개를 계기로 유일한 박사의 생전 지속적인 해외 독립운동 행적이 알려지며 다시 한번 많은 이들의 귀감이 되었다.

딸 유재라 씨는 지난 1991년 세상을 떠나면서 본인이 갖고 있던 주식 등 200억 원 상당의 전 재산을 사회에 기부하며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대를 이었다’는 칭송을 받았다.


안경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