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항체 적은데…어린이들이 코로나에 강한 이유 밝혀졌다

"성인과 바이러스 양 비슷하지만 항체는 적어

면역력이 방어선으로 작용해 바이러스 퇴치"

한 초등학생이 등교를 앞두고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로 선제 검사를 받고 있다./연합뉴스한 초등학생이 등교를 앞두고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로 선제 검사를 받고 있다./연합뉴스




어린이는 코로나19에 걸려도 어른보다 증세가 약하게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왜 그럴까. 선천적 면역력이 어른보다 더 강하기 때문일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다.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가 나왔다.

국제학술지인 네이처에 따르면 호주의 한 연구팀은 지난 9일 논문 공유 사이트 'JAMA 네트워크 오픈'에 이같은 연구 결과를 게재했다.



연구팀은 2020년 5월10일~10월28일 사이 평균 연령 4세의 어린이 57명, 평균 연령 37세인 어른 51명 등 총 108명의 코로나19 감염 환자를 상대로 조사를 진행했다. 이들은 모두 두통, 발열과 같은 가벼운 증상이 있거나 무증상이었다.

관련기사



연구팀은 환자들의 목과 코에서 바이러스의 양을 측정했고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면역글로블린 G’ 항체의 양을 채혈을 통해 확인했다. 조사 결과 어린이들은 어른과 비슷한 양의 바이러스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혈액 내 항체 생성 여부는 달랐다. 어른들은 76%가 항체를 갖고 있지만 어린이들은 37%만이 항체를 생성했다.

연구팀은 어린이가 어른보다 강력한 선천적 면역력을 가지고 있어 성인보다 더 적은 항체를 생산한 것으로 분석했다. 어린이의 면역력이 병원체에 대한 첫 번째 방어선으로 작용해 성인보다 적은 양의 항체를 만들었다는 것이다.

또 어린이는 목이나 코를 통해 몸에 들어오는 바이러스를 잘 방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도나 파버 컬럼비아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어린이들의 신체가 바이러스를 신속히 제거하면서 굳이 항체를 생산하기 위한 수용 반응을 일으키느라 매달리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부연했다.

다른 연구에서도 어린이의 선천적 면역 체계가 감염에 강하고 빠르게 반응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020년 11월 미국 뉴욕의 컬럼비아대 연구팀은 “(코로나19에 감염됐을 때) 아이들이 성인보다 항체를 적게 만들어내지만 ‘급성 호흡곤란 증후군(ARDS)’ 등 심각한 증상으로 발전하는 경우가 적다”고 전했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