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기업 60%, "새정부 최우선 과제는 일자리 창출"

전경련, 1000대기업 157곳 조사

“중대재해법·최저임금법 개선해야”

국내 기업 10곳 가운데 6곳은 새 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 경제 재도약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시장조사 전문 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18일부터 이달 1일까지 국내 매출 상위 1000대 기업 가운데 157개 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기업 95곳(60.5%)이 이같이 답했다고 13일 밝혔다.







일자리 창출에 이어 사회 갈등 조정(17.2%), 정치 개혁(12.1%), 외교·남북 관계 안정(5.7%), 문화 융성(1.9%) 등이 뒤를 이었다. 전경련은 “차기 정부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인해 높아진 경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경제 재도약을 통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 전면에 나서주기를 바라는 기업의 요구가 반영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기업들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중점 추진할 사업으로 미래 성장 산업 육성 지원(28.3%), 기업 투자 촉진을 위한 규제 완화(27.5%), 기존 제조업 경쟁력 강화(20.5%), 서비스 산업 경쟁력 강화(11.8%), 노사 관계 안정화(8.7%), 탄소 중립 연착륙(2.4%) 등을 꼽았다.

규제 완화 과제와 관련해서는 투자·사업별 맞춤형 규제 완화(35.2%)를 가장 많이 선택했으며 노동 규제 완화(25.8%), 준조세 부담 완화(15.0%), 네거티브 방식으로 규제 시스템 전환(13.6%) 등이 뒤를 이었다.

개선을 희망하는 경제 법률에 대한 질문에는 중대재해처벌법(37.8%)과 최저임금법(32.4%)을 많이 꼽았다. 중대재해처벌법의 경우 처벌 규정 완화 등을 원했으며 최저임금법에 대해서는 산정 방식 보완 등을 요구했다.

차기 정부의 중점 지원 신산업에 대해서는 23.8%의 응답 기업이 인공지능(AI)이라고 답했다. 이어 전기·자율차 등 미래 자동차(20.3%), 차세대 반도체·디스플레이(16.9%), 바이오·헬스(14.7%), 로봇(8.7%), 수소산업(8.2%), 이차전지(5.6%) 등의 순이었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