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글로벌은행들, 니켈 폭등 촉발한 中 칭산그룹과 협상

러시아의 한 공장에 쌓여 있는 니켈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러시아의 한 공장에 쌓여 있는 니켈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칭산그룹의 숏스퀴즈로 니켈 가격이 폭등하며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의 거래까지 중단된 가운데 JP모건체이스 등 글로벌 대형 은행들이 해결에 나섰다.



13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JP모건체이스와 스탠다드차타드, BNP파리바 등의 채권단이 칭산그룹과 협상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채권단은 칭산그룹의 신용한도를 연장, 증거금을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니켈 가격이 사상 최고가 수준을 기록하고 있는 데다 칭산그룹의 생산 능력도 방대한 만큼 이 같은 신용 한도 연장은 채권단에 높은 이익을 안겨줄 것으로 보인다고 WSJ는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채권단은 중국과 인도네시아 내 청산그룹의 철강과 니켈 자산을 대출 담보로 확보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정부가 직접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로이터통신은 현재 칭산그룹이 80억달러 상당의 숏포지션을 청산하거나 현물로 상환할 수 있을 만큼의 니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며, 중국 정부가 보유한 고급 니켈과 칭산그룹이 생산하는 니켈선철(NPI)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지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현재 중국 정부는 약 10만톤의 니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니켈 시장이 문제가 된 것은 지난 8일이다. 당시 LME에서 니켈 가격은 장중 한때 111%나 오르며 최고가인 1톤당 10만1365달러까지 급등했다. 불과 하루 만에 두 배가 넘게 오른 것이다. 이에 LME는 니켈 매매를 정지시키고, 이전에 발생한 거래까지 취소했다. 이날 니켈 가격 급등의 원인으로는 칭산그룹이 지목됐다. 앞서 칭산그룹은 니켈 가격의 하락을 예상하고 니켈을 공매도했다. 하지만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니켈 가격이 오르자 공매도에 따른 손실을 줄이기 위해 매수하는 '숏스퀴즈'를 대량으로 시행했고 이 영향으로 니켈 가격은 폭등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