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서머타임 영구 적용하나?…상원 만장일치 통과

하원 통과땐 미국시간 영원히 한시간 당겨져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미국의회 상원이 '서머타임(일광시간절약제)'을 영구적으로 적용하는 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키면서 앞으로는 해가 길어지는 11월~3월도 여름과 같은 시간을 적용하게 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15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등 외신은 일광절약 시간제를 영구적으로 시행하는 '햇빛보호법'법안이 상원에서 통과됐다고 보도했다. 다만 하원에서도 법안이 통과될지는 미지수다. 만약 하원에서 찬성해 조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하면 새 제도는 내년 1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미국에서는 매년 3월 둘째 주 일요일 오전 2시를 오전 3시로 앞당기고, 11월 첫째주 일요일 오전 2시에는 이를 다시 한 시간 늦춰 기준시간으로 되돌리는 '서머타임'을 유지했다. 새 제도가 도입되면 봄, 가을에도 시간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한국과의 시차는 11~3월 14시간에서 연중 13시간이 된다.

관련기사



일광절약 시간제는 저녁에 햇빛을 더 오래 활용해 에너지를 절약한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미국에서는 1910년대 도입돼 100여년 이상 시행됐다. 미국 외에도 영국, 프랑스, 독일 등 80개국이 매년 두 차례 시계를 되돌린다.

하지만 매년 시간을 조정하기가 번거롭고, 시차가 달라지면서 노동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일광절약 시간제의 효능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2017년 덴마크 과학자들은 18만50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겨울을 앞두고 표준시간이 바뀌면 우울한 증상이 11% 증가한다고 발표했다. 소매업체나 여행업계도 저녁에 더 밝아야 지출이 늘어난다며 영구 적용을 주장한다.

반면 수면 과학자들은 일광절약 시간제 영구 적용에 반대하면서 오히려 이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고 봤다. 서머타임을 계속 적용해 여름철 밤이 너무 밝으면 잠들기 어렵고, 반대로 겨울 아침에는 너무 어두워 일어나기 어렵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만성 수면부족으로 인해 비만, 심장병, 단요 등이 늘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조셉 타카하시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 신경과학 부서장은 "의료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광절약 시간은 최악의 선택"이라며 "자연환경과 영구적으로 동기화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윤진현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 태그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