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 기업·소상공인 '라이브커머스 지원' 가장 원해

부산연구원, 비대면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 발표

라이브커머스 경쟁력 제고 방안은 ‘전문 판매자 지원’ 꼽아


부산 기업과 소상공인이 온라인·홈쇼핑 판매 강화를 위한 부산시의 과제로 라이브커머스 지원을 가장 많이 꼽았다.

부산연구원은 17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부산의 비대면 비즈니스 활성화 방안 연구-소비분야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부산연구원이 부산 기업 관계자와 소상공인 13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보면, 온라인·홈쇼핑 판매 강화를 위해 부산시가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로 ‘기업·소상공인의 라이브커머스 지원’(29.8%), ‘택배비 지원’(13.05), ‘기업·소상공인의 오픈마켓 입점 지원’(12.2%) 순으로 나타났다.

라이브커머스 시장 환경 적응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는 ‘전문 판매자(인플루언스) 지원 통한 상품 판매’(40.5%)가 가장 높았다. 다음은 ‘접근이 편리한 라이브커머스 촬영 공간 확보 지원’(24.4%), ‘자체 제작한 상품 판매 영상에 대한 컨설팅 지원’(12.2%) 순으로 집계됐다.



운영을 위해 관심을 갖고 있는 채널은 ‘라이브커머스(라이브방송)’(27.5%), ‘오픈마켓(네이버 스마트 스토어)’(16.0%), ‘단독 온라인 몰’(15.3%) 순으로 답했다.

관련기사



부산의 온라인 판매 채널 운영 방향에 대해서는 부산만의 단독 몰 운영을 지양하고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입점’(29.8%)을 가장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가 추진 중인 비대면 판매 지원 사업 중요성./사진제공=부산연구원부산시가 추진 중인 비대면 판매 지원 사업 중요성./사진제공=부산연구원




부산시와 정부가 운영 중인 공공 몰 입점 계획 여부에 대해서는 ‘입점 계획 있음’(47.3%), ‘현재 입점한 상태’(27.5%), ‘입점 계획 없음’(25.2%)으로 조사됐다. 공공 몰 입점 계획이 있거나 입점을 결정한 이유는 ‘부산시 및 정부의 지속적 판매 촉진을 위한 지원책을 기대해서’(49.0%)를 가장 많이 꼽았다.

보고서는 부산 전자상거래·라이브커머스 운영 전략으로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도입·응용을 통한 ‘공급자(판매자) 측면’, ‘수요자(고객) 측면’, ‘플랫폼 서비스 측면’ 의 추진 과제를 제시했다.

공급자 측면은 최저가(가격경쟁력), 차별화(이색)상품과 서비스, 묶음 가격 전략, 디지털 거점시설 구축이다. 수요자 측면은 온라인 온리, 무료 쿠폰 패키지 이벤트, 디지털 시민 지원단, 구독경제 및 내고장 상품 애용 운동을 제시했다. 플랫폼 서비스 측면은 대기업과 협업(파트너사), 무인점포로 전환 및 확대, 비대면 격차(소외층) 해소, 해외 플랫폼 출점이다.


부산=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