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셀트리온 화이자 코로나19 치료제 위탁생산자 선정 여부에 '촉각'

유엔 의약품특허풀 팍스로비드 제네릭 생산 업체 곧 발표

셀트리온, 엔지켐생명과학 등 입찰 참여하고 결과 대기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 로이터연합뉴스화이자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 로이터연합뉴스





셀트리온이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 제네릭 위탁 생산 제약사로 선정될지에 관심이 모인다. 이번 치료제는 전량 저개발국 등으로 수출되며 국내엔 공급되지 않지만 글로벌 수준의 생산능력을 갖춘 업체임이 입증된다는 점에서 선정의 의미는 크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17일(현지 시각) 유엔 국제의약품구매기구 산하 의약품특허풀(MPP)은 화이자의 팍스로비드 제조를 맡을 제네릭 제약사를 발표한다. 선정된 제약사들은 올해 12월까지 첫 팍스로비드 제네릭 공급을 위한 준비를 끝내야 한다.



국내 제약·바이오업계는 발표를 앞두고 술렁였다. 이번 입찰에는 셀트리온(068270)과 엔지켐생명과학 등 다수 기업이 참여해 결과를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셀트리온은 경우는 이번에 선정될 경우 두번째가 된다. 앞서 미국 머크(MSD)의 먹는 치료제 ‘몰누피라비르’의 제네릭 제품 위탁 생산 입찰에서 한미약품과 함께 선정된 바 있다.

셀트리온은 만약 선정될 경우 저개발 국가에 제네릭을 공급하는 한편 유럽 등 선진국 시장에 대해선 항체치료제 렉키로나를 판매하는 전략을 가동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팍스로비드 공급 속도는 몰누피라비르보다 느릴 가능성이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팍스로비드가 출시될 95개국 중 일부는 공급까지 앞으로 1년은 더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팍스로비드를 구성하는 약 중 ‘니르마트렐비르’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이어서 제네릭 제조사들의 라이선스 검토에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원자재 수급도 타이이트할 것으로 보인다. 팍스로비드 제조를 위해서는 세계 각지에서 조달한 38개 원부자재와 시약이 필요하다.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왼쪽)와 머크(MSD)의 경구용 치료제 몰누피라비르. 로이터엽합뉴스화이자의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왼쪽)와 머크(MSD)의 경구용 치료제 몰누피라비르. 로이터엽합뉴스


맹준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