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尹 집무실 최종부지 놓고 고심…"현장 방문 후 결정"

靑 부지, 외교부·국방부 청사 2곳 압축

인수위원들 내일 오후 현장 정검

신중론 고개ㅍ들어…"여론 살펴 결정"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청와대 이전 부지를 외교부가 입주해 있는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와 용산 국방부 청사 두 군데로 압축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 안철수 인수위원장, 기획조정·외교안보 분과 인수위원 등과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사진은 지난 15일 국방부 청사(사진 왼쪽)와 외교부 청사, 정부서울청사 모습.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7일 청와대 이전 부지를 외교부가 입주해 있는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와 용산 국방부 청사 두 군데로 압축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 안철수 인수위원장, 기획조정·외교안보 분과 인수위원 등과 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사진은 지난 15일 국방부 청사(사진 왼쪽)와 외교부 청사, 정부서울청사 모습. /연합뉴스




차기 대통령의 집무실 부지를 두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청와대 이전 후보지로 용산 국방부 청사가 유력했던 가운데 반대 여론이 고개를 들자 광화문 외교부 청사와 비교해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

17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이날 안철수 인수위원장, 기획조정·외교안보 분과 인수위원 등과 회의를 가진 뒤 국방부 청사와 외교부 청사 두 곳을 후보지로 압축했다. 또 관련 인수위원들이 18일 현장 두 곳을 직접 방문해 점검한 뒤 최종 결정하기로 했다.



한때 국방부 신청사가 유력 후보지로 떠올랐으나 윤 당선인이 대선 초기부터 ‘광화문 시대’를 공약으로 내세웠고 국방부 청사를 택하기엔 군 시설 이전 등 민감한 사안이 있는 만큼 두 곳 중 신중하게 결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앞서 국방부 신청사는 경호와 비용 문제에 있어 유리하다는 점에서 유력한 대안으로 꼽혀왔다. 이날도 기존 청와대 부지를 국민에게 개방하는 방안을 전제로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동을 용산으로 옮기는 방안과 대통령 관저를 용산구 한남동의 국방부 장관 공관 등을 개조해 마련한 뒤 추후 용산공원과 인접한 부지에 새 관저를 신축해 이사하는 방안이 함께 검토됐다. 청와대 영빈관 후보지로는 국방컨벤션센터, 전쟁기념관, 국립중앙박물관 등이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국방부 이전과 예산 소요 등 문제를 두고 여론이 악화하면서 신중론이 고개를 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회의는 외교부·국방부 청사로의 이전에 대한 찬반 의견이 엇갈리며 한 곳으로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인수위 관계자는 “한때 용산 이전에 무게가 실렸지만 오늘 회의를 통해 전부 열어놓고 충분히 논의해 최종 확정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국방부 이전 문제를 놓고 ‘보여주기식 이벤트’라며 맹공에 나섰다. 국방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국방부와 합참의 많은 부서와 시설본부, 국방부 근무지원단이 모든 업무를 중지하고 오는 3월 말까지 이사를 해야 한다”며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 안보 위협이 가중돼 실시간 상황에 대비해야 하는데 이사 준비를 하고 있는 현실에 참담함을 느낀다”고 비판했다.

또 “국방부, 합참 및 국방부 직할 부대 이전에 따라 직간접적인 예산 1조 원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합참이 이전한다면 EMP 방호가 필요한 지휘통제시설을 다시 구축해야 하고 군사시설 재배치 및 군인, 군무원, 공무원들의 가족 이사 등 간접비용도 불가피하다”며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위한 직접비용만 계산해 수백억 원이 소요돼 최소 비용으로 이전하겠다는 것은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맹비난했다.

청와대 역시 윤 당선인 측이 청와대의 불통 구조를 집무실 이전의 근거로 든 것을 두고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탁현민 청와대 의전비서관은 페이스북 글에 “대통령 집무실을 비서동으로 옮긴 지 5년이 되었다. 제가 조금 전에 (집무실에서 비서동 사이의) 이동 시간을 확인했는데 뛰어가면 30초, 걸어가면 57초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고 비꼬았다. 이어 “청와대가 사람들의 관심과 가보고 싶은 공간인 이유는 거기 대통령이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신한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