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반쪽 대통령→80% 지지…YS에겐 시대정신 있었다

하나회 척결·금융실명제 등

개혁으로 화합 이끈 YS처럼

‘'갈라치기’ 아닌 통합 이뤄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0일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선대본부 해단식에서 청년 보좌역들로부터 전달받은 당선증을 들어 보이고 있다. 성형주 기자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10일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선대본부 해단식에서 청년 보좌역들로부터 전달받은 당선증을 들어 보이고 있다. 성형주 기자




0.73%포인트로 제20대 대통령이 결정됐다. 대통령 직선제 시행 이래 가장 적은 득표차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는 국민 통합이라는 과제가 여느 때보다 더 크게 다가서는 이유다.



문민정부를 열었던 김영삼 전 대통령에게서 해답을 찾을 수 있다. 김 전 대통령은 국민 절반에 미치지 못한 표로 당선됐지만 집권 초 지지율을 83%까지 끌어올렸다. 그 배경에는 시대정신을 담은 획기적인 개혁 정책이 있었다.

관련기사



윤 당선인은 48.56% 득표율로 이재명 전 경기도지사를 제쳤다. 이 전 지사의 득표율 47.83%와 매우 근소한 차이다. 윤 당선인이 선거 내내 목소리를 높였던 정권 교체는 현실이 됐다. 그러나 윤 당선인을 선택하지 않았던 국민까지 포용할 정책적 비전은 드러나지 않았다. 윤 당선인이 대선 전후로 강조해온 ‘통합·공정·상식’을 이루기 위한 비책이 요구되는 게 현실이다.

민주주의 발전을 이끌었다고 평가되는 김 전 대통령도 1992년 제 14대 대선에서 41.96%의 득표율로 정권을 잡았다. 낙선한 김대중 당시 민주당 후보는 호남에서 90%대 득표율을 얻는 등 확고한 지지층을 보유하고 있었다. 반쪽에 불과한 민심을 잡기 위해 김 전 대통령은 취임 직후 정치군인 세력인 하나회를 척결했다. 지지율은 83%까지 치솟았다. 이후에도 그는 금융실명제 도입, 공직자 재산 공개 등을 통해 정치자금 및 뇌물 근절을 앞세웠고 국민들은 열렬한 지지를 보냈다. 이 정책들은 한국 사회의 부패를 줄이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시대적 과제를 푸는 개혁 조치가 국민들의 마음을 한 곳으로 모은 것이다.

윤 당선인에게는 국민을 ‘갈라치기’ 한다는 비판이 제기돼 왔다. 국민의힘 내에서도 자성의 목소리가 나왔다. 윤희석 선거대책본부 대변인은 “결과적으로는 젠더 갈등을 더 도드라지게 했던 부분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국민 통합을 이루겠다는 윤 당선인의 행보가 주목된다. 그는 당선 후 첫 기자회견에서 “국민의 편을 가르지 말고 통합의 정치를 하라는 국민의 간절한 호소였다. 이러한 국민의 뜻을 결코 잊지 않겠다”며 “진보와 보수, 영·호남이 따로 없을 것”이라고 약속한 바 있다.


박예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