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국방부, 용산 내 他건물로 분산…합참은 남태령行 예고

[용산 대통령 시대]

국방장관실 등 연쇄 이동 불가피

합참, 빠른 시일내 과천 이전 검토

이사시한 촉박…해킹 등 보안 숙제

윤석열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추진할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 본관(오른쪽)의 전경. 왼쪽 건물은 합참 청사의 모습이다. 연합뉴스윤석열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 이전을 추진할 서울 용산 국방부 청사 본관(오른쪽)의 전경. 왼쪽 건물은 합참 청사의 모습이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취임 전까지 대통령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본관) 자리로 이전하겠다고 발표하면서 해당 부처 및 관련 군 기관 등의 연쇄적인 위치 이동이 불가피하게 됐다. 국방부는 합동참모본부 청사 등에서 한동안 동거할 것으로 전망되며 합참은 향후 남태령으로 옮겨갈 것으로 예상된다.

국방부는 현재의 용산 부지 내 본관 청사(신관)를 비우고 당분간 부지 내 다른 10여 개 건물로 분산 배치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 장차관실은 합참 청사 내 3층으로 이전될 것으로 전해졌다. 정책실과 기조실 등도 장차관을 보좌하기 위해 합참 청사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다. 당초 합참 청사는 전시작전권 전환을 고려해 한미연합사가 함께 쓰도록 건립됐다가 이후 연합사가 평택으로 이전했기 때문에 공간적 여유가 있어 국방부가 이전하는 데 큰 제한은 없다는 것이 윤 당선인의 설명이다.



다만 지상 10층, 총면적 1만 5000㎡(4538평) 규모의 본관에 입주해 있던 국방부 조직 전체가 합참 청사에 들어가기는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합참 청사에 입주하기 어려운 국방부 조직들은 별관 건물, 육군회관과 유휴 시설 등 여러 곳으로 분산 배치될 가능성이 있다고 군 관계자들은 내다봤다.

관련기사



합참은 당분간 현재의 용산 청사에 남아 국방부와 한 건물에서 동거할 예정이다.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위협이 고조되고 있어 대응 태세에 만전을 기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인다. 다만 향후 전쟁지휘본부가 있는 남태령으로 이전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윤 당선인은 “합참 청사는 연합사와의 협조를 고려해 용산 지역에 자리 잡았지만 연합사가 평택으로 이전함에 따라 전쟁 지휘본부가 있는 남태령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합참의 남태령 이전 시기는 이번에 발표되지 않았으나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진행하겠다는 것이 윤 당선인 측의 설명이다. 이번 대통령 집무실 이전 관련 태스크포스(TF)를 주도한 김용현 예비역 중장은 “대통령·국방장관·합참의장이 (용산 부지에서) 한 곳에 (모여) 있는 것은 분명 (안보상의) 취약성이 존재한다”며 “가능한 빠른 시일 내 군령 최고 위에 있는 합참을 남태령으로 보내는 것이 그런 취약성을 줄이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방부는 24시간 동안 움직이면 20일 정도의 시한으로 이사할 수 있는 예비 견적을 이사 서비스 업체로부터 받았다. 이를 위한 사전 준비 시간까지 감안하면 국방부가 본관을 비워주는 데는 대략 한 달 남짓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후 대통령실이 들어올 국방부 청사 본관의 리모델링을 대통령 집무실 위주로만 최소화한다면 오는 5월 10일까지는 대략적으로 공사를 마칠 수 있을 것으로 군 관계자들은 전망했다.

다만 이를 실현하려면 몇 가지 넘어야 할 산이 있다. 우선 문재인 대통령이 윤 당선인의 협조 요청을 수용해야 한다. 국방부와 합참 등은 아직 문 대통령의 지시를 받아야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촉박한 이사 과정에서 자칫 군 전산망이 해킹당하거나 기밀 서류 등이 분실·유출되고 주요 내용이 외부에 도·감청되는 보안 사고를 철저히 예방해야 하는 것도 중대 과제다. 대통령실 및 군 기관의 연쇄적인 대규모 이전 과정에서 이사 물류 용역 업체 직원 등이 수시로 청사에 드나들 텐데 이 과정에서 실수나 고의로 보안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전 과정에서 출입하는 민간 작업 인원들의 신원을 철저히 가려 작은 보안 사고도 일어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군 관계자들은 지적하고 있다. 2014년 당시 합참이 데이터센터를 만드는 과정에서 하청 업체 직원이 군 전용망 연결에 작은 실수를 했는데 이 틈을 타고 대규모 해킹 사고가 발생해 합참의 주요 데이터가 털린 적이 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