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용산 이전, 강북 비행금지구역 축소…방공포 추가 안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인수위 대변인실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제공=인수위 대변인실




대통령 집무실이 서울 용산 국방부로 옮기게 되면 서울 강북의 비행금지구역이 현재보다 절반 이상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통령실의 용산 이전에 따른 용산·남산지역 일대의 추가 군사시설 구축은 없을 것이라고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설명했다.

인수위는 20일 윤석열 당선인의 기자회견 직후 배포한 설명자료에서 "한강 이남 기존 비행항로는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강북 지역은 비행금지공역이 기존보다 절반 이상 축소된다"고 밝혔다.



인수위는 "강북지역의 비행금지구역이 줄어들면서 공중 공간 활용이 더 충분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강북 지역에서 드론 비행 등이 현재보다 훨씬 자유로워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또한 인수위는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이전에 따라 이 지역과 남산 주변에 추가 군사시설이 들어서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인수위는 "용산은 현재도 국방부와 합참 등 군사시설 방어를 위해 대공방어체계를 갖추고 있다"면서 "용산으로 이전함으로써 주변 아파트에 추가적으로 방공포대를 설치하는 일은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미 군사시설 보호구역으로 설정된 만큼 용산 등 인근지역에 추가 규제도 없다고 인수위는 덧붙였다.

용산기지 반환과 관련해서는 "현재 용산기지 부지 203만㎡의 10% 정도인 21만8천㎡만 반환이 완료됐다"며 "올해 중 부지 4분의 1 반환 완료를 목표로 진행 중이며 여기에는 대통령실 예정지 앞 부지도 포함된다"고 인수위 측은 설명했다.

대통령실 예정지 앞 부지가 반환되면 백악관처럼 앞으로 펜스를 설치해 국민들이 대통령실을 볼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정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