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인터넷 쇼핑 이용이 늘고 있지만, 거래와 관련해서 소비자 문제의 예방과 대응에 필요한 지식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중·고등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5개 주요 소비생활 영역에 대한 지식수준을 조사한 결과, 거래 관련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일반 거래, 디지털 거래, 소비자 재무, 소비생활 안전, 소비자 시민 등 5개 영역에 대해 진행됐다. 그 결과 중·고등학생의 5개 영역 전체 평균 점수는 55.5점이었지만, 디지털 거래와 일반 거래 등 거래 영역 점수는 평균보다 6점 이상 낮았다.
구체적으로, 비대면·온라인 등 디지털 거래에서의 소비자 권리 및 정보 활용, 개인정보관리, 디지털 콘텐츠 소비 등 디지털 거래 영역의 점수는 49.4점, 거래 일반에서의 구매 의사결정, 청약 철회, 소비자 정보 제공 및 소비자 상담 등 일반 거래 영역의 점수는 48.8점이었다. 또 디지털 거래와 일반 거래 영역의 점수는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5점 이상 낮았다.
특히 중·고등학생 10명 중 9명은 사업자와의 전자상거래(B2C)와 개인 간 거래(C2C)는 소비자보호 수준이 다르다는 것을 구분하지 못했다. 중고나라, 당근마켓 등 C2C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소비자의 청약철회권 보장 등과 같은 제도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아는 학생은 11.8% 뿐이었다. SNS 마켓, 공동구매 등 SNS 플랫폼 내에서 상거래를 할 때, 판매자가 소비자의 청약 철회를 방해해서는 안된다는 내용을 아는 학생도 23.9%에 그쳤다.
일반 거래 문항 중에서는 소비자상담센터 전화번호와 정부가 운영하는 소비자 24 웹사이트의 비교 정보 제공 기능을 알지 못한다는 응답 비율이 60%를 넘었다. 모든 제품의 표시 정보를 정부나 공공기관이 승인·허가하고 있지는 않다는 사실을 정확히 알고 있는 응답자는 5.4%에 불과했다.
한편 중·고등학생의 78.6%는 학교나 가정에서 소비자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점수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높았다. 중학생의 경우 교육 경험에 따른 지식수준의 차이가 10점 이상으로, 5점 이하인 고등학생보다 격차가 커 이른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소비자원은 지난해 10월 8일부터 19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진행된 이번 조사 결과를 학교 소비자 교육 추진 및 교육 콘텐츠 개발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청소년의 소비자역량 수준을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조사체계를 구축해 청소년 대상 소비자정책 수립 및 추진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