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기자의눈]반대를 위한 반대, 금융지주 주총

■유현욱 금융부 기자






오는 24일 신한지주를 시작으로 금융 지주회사의 정기 주주총회가 차례로 열린다. 정기 주총은 지난 1년간 경영성적을 공식적으로 평가받고 경영진이 향후 비전을 제시하는 자리다. 지난해 하나같이 역대 최대 실적을 낸 KB·신한·우리·하나 등 4대 금융 지주는 축제 분위기를 즐길 것 같지만 현실은 다르다. 코로나19 속에도 나 홀로 특수를 누린 탓에 이번 주총을 바라보는 외부 시선은 곱지 않다.

관련기사



세계 최대 의결권 자문사인 ISS는 4대 금융 지주의 사내외 이사 선임 안건에 대해 무더기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사법 리스크에 노출돼 있거나 이를 제대로 걸러 내지 못한 책임을 물으면서다. 국내 자본시장 최대 큰손인 국민연금도 같은 논리로 일부 금융 지주의 사내외 이사 선임 안건에 반기를 들었다. 특히 파생결합펀드(DLF) 관련 중징계 행정소송에서 재판부가 금융 당국의 손을 들어준 고위 임원에 대해서는 시민 단체나 정치권이 비토를 요구하는 상황이다. 경제개혁연대는 “경영 공백 위험 등을 회사와 주주, 금융 소비자에게 부당하게 전가해서는 안 된다”면서 회장 선임 강행 철회를 주장했고,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은 “감독 당국의 중징계를 받은 임원이 지주 회장 후보로 거론되는 것만으로도 금융 산업 전반에 커다란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외국인 지분이 많다지만 주총에 큰 이변은 없을 듯하다. 대부분 기존 경영진의 백기사들인 데다 단기 실적도 빼어나 반발 여론은 찻잔 속 태풍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각 사는 결과에 연연하지 말고 경청과 자정의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경영 승계 프로그램을 내실화하지 않는다면 주주 자본주의의 한계를 지적하는 노동계·정치권에 경영 참여의 빌미만 주고 반대를 위한 반대에 휩싸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