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단독] '월급제' 고집…카카오 직영택시 결국 구조조정

900여 대 운영중인 티제이파트너스

설립 후 3년 내내 만성 적자 시달려

기사급여 보장되는 월급제 원인 지적

일부 법인 매각·사업 다각화 중 검토






카카오(035720)모빌리티가 운영 중인 직영택시 사업의 구조조정을 추진한다. 수익성이 좋지 않은 데다 또 다른 주력 택시 사업인 가맹택시 부문이 업계 1위로 자리 잡은 상황에서 기존과 같은 직영택시 운영은 실익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일부 법인을 매각해 규모를 축소하거나 차별화된 서비스를 접목해 새 모빌리티 사업으로 탈바꿈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21일 모빌리티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현재 직영택시 자회사 티제이파트너스의 사업 개편안에 대해 내부 논의를 벌이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티제이파트너스를 중심으로 그 아래 손자회사 9곳을 통해 총 900여 대 규모의 직영택시를 운영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의 내부 사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직영택시의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데는 카카오 공동체 내부에서 공감대가 형성된 상태”라며 “다만 매각이냐 사업 다각화냐를 두고 고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티제이파트너스는 지난 2019년 설립 이후 3년간 적자를 기록했다. 수익성 악화의 원인으로는 소속 기사들이 근무 시간만 채워도 일정 수익이 보장되는 ‘월급제’가 꼽힌다. 보통 택시 회사들은 기사들이 매일 10만 원 안팎의 비용을 지불하고 그 이상의 수익은 가져가는 ‘사납금제’를 적용한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당초 기사 처우 개선과 신사업 추진에 유연하다는 장점에 주목해 월급제를 택했지만 비용 부담만 키웠다는 분석이다. 카카오모빌리티 내에서 수익보다 월급, 차량 유지·관리비, 보험료 등 비용이 더 많이 드는 불성실 근로자의 비율이 40~5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직영택시 사업 재편과 관련해 “경영 효율을 높일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맞지만 매각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박현익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