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코로나·삼성전자 덕에 보험사 호실적… 지난해 순익 8조

금감원, 보험회사 경영실적 공개





국내 보험사들이 지난해 코로나19로 사람들의 외출이 줄고 삼성전자의 특별배당을 받으면서 이익이 2조 원 넘게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감독원은 23일 이 같은 내용의 ‘2021년 보험회사 경영실적(잠정치)’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국내 보험회사(생보사 23개, 손보사 30개)의 지난해 당기순이익 총합은 8조2667억 원으로 전년 대비 2조1967억 원(36.2%) 증가했다.



생명보험사의 당기순이익은 3조9403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14.2% 뛰었다. 저축성보험의 매출 감소 등으로 보험영업손익은 악화(-0.7조 원)됐으나 이자 및 배당수익 증가 등으로 투자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1.6조 원)한 데서 비롯됐다. 특히 삼성전자 특별배당이 이익의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생명·손해보험 업계 1위인 삼성생명과 삼성화재의 삼성전자 지분 등으로 상반기 삼성전자 특별배당이익이 9420억 원이나 유입됐다.

관련기사



손해보험사의 경우 4조3264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65.2% 급증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자동차보험 손해율 및 장기보험 사업비율이 하락해 보험영업손실이 1조8000억 원 줄었다. 투자 영업이익도 4000억 원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보험사들의 수입보험료는 224조9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1.4% 늘어나는 데 그쳤다. 생보사는 120조5457억 원으로 같은 기간 0.8%, 손보사는 104조3734억 원으로 2.0% 증가했다. 생보사는 변액보험(6.1%), 퇴직연금(5.8%) 및 보장성보험(2.1%) 판매가 증가했다. 손보사는 장기보험(5.2%), 자동차보험(3.7%) 및 일반보험(8.8%)은 판매가 증가했고 퇴직연금(-15.7%)은 크게 감소했다.

보험사의 실적이 좋아지면서 수익성도 개선됐다. 지난해 국내 보험사들의 총자산이익률(ROA)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은 각각 0.62%, 5.95%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각각 0.15%포인트(p), 1.51%p 상승했다. 총자산은 1358조7000억원으로 보험료 수입에 따른 운용자산증가 등의 요인이 컸다.

금감원 측은 “보험회사의 실적은 코로나19라는 외부요인 일회성 배당이익, 전년도 대체투자 손상차손 기저 효과 등에서 기인한 바 크다”면서 “단계적 일상회복 및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로 수익이 지속될지 여부는 불투명한 만큼 국내외 금리 환율 변동 등 주요 리스크 요인에 대한 상시 감시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