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고교학력평가 재택응시 '먹통'] "올 첫 모의평가인데…1·2교시 시험 망쳤다"

예상보다 많은 확진·격리 학생에

1교시부터 2시간동안 시스템 마비

"실제처럼 시험 치르고 싶었는데…

재택응시 왜 실시했나" 학생들 분통

코로나19 확진으로 자택격리 중인 고3 학생이 24일 고교 전국연합학력평가를 보고 있다. 확진·격리 등으로 등교하지 못하는 학생은 온라인 시스템에서 문제를 다운로드해 응시할 수 있다. 사진공동취재단코로나19 확진으로 자택격리 중인 고3 학생이 24일 고교 전국연합학력평가를 보고 있다. 확진·격리 등으로 등교하지 못하는 학생은 온라인 시스템에서 문제를 다운로드해 응시할 수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4일 전국 고등학교에서 올해 첫 전국연합학력평가(학평)가 치러졌다. 하지만 학평 재택 응시 시스템이 1교시 시작부터 2시간가량 ‘먹통’이 됐다. 오미크론 대유행으로 예상보다 많은 확진·격리 학생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서버가 접속량을 감당하지 못했다. 3월 학평은 올해 처음 치러지는 전국 단위 모의고사다. 다른 학생과 평가 결과를 비교해 연간 학습 계획을 수립하는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가장 중요한 시험이다. 학생 감염자가 속출하는 상황에서도 재택 응시 규모를 제대로 예측하지 못한 교육 당국에 수험생과 학부모의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이 주관한 이날 학평은 전국 고등학교 1~3학년 학생 95만 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교육 당국은 코로나19 확진 등으로 등교하지 못한 학생이 재택 응시가 가능하며 시험지는 학평 온라인 시스템에서 다운로드 하면 된다고 사전 안내했다. 그러나 시스템은 1교시 시작인 오전 8시 40분부터 먹통이 돼 2교시가 진행 중이던 오전 10시 55분께 정상화됐다. 복구 이후 홈페이지에는 1·2교시 과목인 국어와 수학 문제지가 올라왔다. 1·2교시 동안 홈페이지가 마비되면서 재택 응시 학생들은 시험에 차질을 빚었다.



올해는 전 학년 동시에 시험을 치르는 데다 예상보다 많은 확진·격리 학생이 몰리면서 시스템이 마비된 것으로 추정된다. 매년 3월 치러지는 서울시교육청 주관 학평은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에는 시험이 연기되다 4월이 돼서야 전면 재택 시험으로 치러졌다. 전국 단위 채점이나 성적 처리가 되지 않아 사실상 시험이 무산됐다. 지난해는 3개 학년이 날짜를 분산해 시험을 치렀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예상보다 많은 확진·격리자가 몰린 데다 비로그인 방식인 만큼 학원 등 다양한 곳에서 접속해 접속량이 폭증한 것으로 보인다”며 “응시 학교에는 보안 메일을 통해 문제지를 전달해 학교별로 활용하는 학습관리시스템(LMS)으로 분산했다”고 해명했다.

관련기사



이날 접속 장애로 최소 수만 명의 학생이 응시에 차질을 빚은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교육청은 시험 종료 뒤 각 학교에서 재택 응시자를 일일이 취합하지 않는 이상 피해 학생 규모를 파악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다만 최근 교육부가 발표한 등교 수업 학생 현황에 따르면 등교 수업 학생 비율은 88%(21일 기준)로 이날 역시 비슷하다고 가정할 경우 전국 약 95만 명의 응시자 중 약 10만 명 내외의 학생이 재택 응시한 것으로 추산된다.

재택 응시자의 경우 감독 없이 각자 시험을 치르는 만큼 학평 성적 산출에서 제외된다. 하지만 각자 채점 후 등교 시험 학생들의 성적표와 비교해 대략적인 자신의 수준을 가늠해볼 수 있다. 재택 시험을 치른 고3 김나현(18) 양은 “고1인 동생도 같이 시험을 쳐야 했는데 둘 다 오전 내내 시험을 아예 치르지 못했다”며 “집에서 치르지만 최대한 실제 시험과 같은 환경에서 치르려고 준비를 많이 했는데 시작부터 계획이 엉켜버려 화가 많이 났다”고 말했다. 경남의 한 고3 학부모는 “최근 학생 확진자가 폭증하고 있는 상황에도 예상하지 못한 교육 당국 잘못”이라며 “이럴 거면 재택 응시 시스템을 왜 마련했는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서버가 다운될 정도로 실제 채점에서 제외되는 미응시 인원이 많을 수도 있다”며 “실제 성적 결과와 통계의 불일치 정도가 커져 수험생들이 문·이과 통합 수능 2년 차에서 정확한 학습 전략을 세우는 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신중섭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