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尹, 시진핑 주석과 25분간 통화…"한반도 정세 관리 협력 당부"

양측 통화, 尹 당선 축하 계기로 마련돼

시 주석, 韓 대통령 당선인과는 첫 통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5일 오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첫 통화를 하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5일 오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첫 통화를 하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실현과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양국이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유예(모라토리엄)' 파기 하루 만인 25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 통화하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실현과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를 위한 긴밀한 협력을 당부했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 5시 30분부터 55분까지 약 25분간 시 주석과 통화하고 전날 이뤄진 북한의 신형 ICBM '화성 17호' 시험 발사와 관련해 이같이 요청했다고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이 서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김 대변인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시 주석에게 "북한의 심각한 도발로 인해 한반도 및 역내 긴장이 급격히 고조돼 국민적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북한의 ICBM 발사로 한반도 정세가 급격히 악화한 만큼 중국의 중재자 역할을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윤 당선인 측은 이에 대한 시 주석의 답변을 공개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윤 당선인과 시 주석은 또 이날 통화에서 "수교 30주년을 맞아 새로운 한중 관계 발전을 이뤄 나가자"고 뜻을 같이했다. 특히 윤 당선인은 "앞으로 상호 존중과 협력의 정신으로 한중 관계를 진전시키기 위해 시 주석과 함께 노력해 나가기를 희망한다"고 피력했다. 이에 시 주석은 양국 관계를 '이사 갈 수 없는 가까운 이웃'으로 규정하고 "양국 관계의 안정적이고 장기적인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양국과 두 나라 국민들에게 혜택을 가져다 줄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화답했다.

나아가 양측은 고위급 전략적 소통을 활성화해 한중 관계 현안을 잘 관리해 나감과 동시에 △공급망 △보건 △기후변화 △미세먼지 등 환경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 협력을 더욱 확대하기로 했다. 더불어 양 국민 간 마음의 거리를 줄여 나가는 것이 양국 관계 발전의 중요한 기반이라는 데 공감하고 이를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난 30년간 높아진 양국의 국제사회 위상에 걸맞게 지역·글로벌 이슈와 관련해서도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이번 통화는 윤 당선인에 대한 당선 축하 인사를 계기로 마련됐다. 특히 시 주석이 한국 대통령 당선인과 통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 주석은 11일 싱하이밍 주한 중국 대사를 통해 축전을 전달한 데 이어 이날 통화에서도 당선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이에 윤 당선인은 시 주석에게 감사의 뜻을 표한 뒤 "올해 양회의 성공적 개최를 축하한다"고 말했다.

한편 윤 당선인은 당선 확정 이후 통화한 정상 가운데 시 주석과 가장 길게 통화했다. 앞서 윤 당선인은 10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약 20분, 11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약 15분 통화한 바 있다. 16일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는 약 25분 통화했다. 후보 시절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추가 배치’ 등 대중 강경 발언을 이어 온 윤 당선인이 미국·일본 정상보다도 중국 정상과의 통화에 가장 긴 시간을 할애한 셈이다.


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