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中 전문가들 "尹 당선인 한중 관계 강화 의사, 대중관계 중시" 해석

시진핑 국가 주석과 통화…한중 관계 강화 피력

주한 중국대사 만나며 대중 정책 기조 바뀌어

시 주석, 당선인과 통화한 것은 드문 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5일 오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첫 통화를 하고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5일 오후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첫 통화를 하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실현과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를 위해 양국이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당부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25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통화하며 한중 관계 강화 의사를 피력한 것과 관련 중국 전문가들은 윤 당선이 대중관계를 중시하고 있다는 의미로 분석했다.



뤼차오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연구원은 26일 관영 글로벌타임스에 "중국과 한국은 양국 간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최고 지도자들 간 직접적인 의사소통을 유지했다"며 "윤 당선인의 대중 정책 기조는 이미 지난 11일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를 만나면서 바뀌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뤼 연구원은 "윤 당선인은 5월 취임 이후 경제 안정과 코로나19 방역 등 국내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며 "대부분의 한국 지도자들이 미국에 큰 중요성을 두고 있지만, 중국은 한국의 안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왕준성 중국 사회과학원 동아시아 연구소 연구원은 "현재 국제·지역 정세는 더 복잡해졌다"며 "윤 당선인은 미국에 의지할 가능성이 크지만 다른 국가를 희생하면서 한미동맹을 한국 외교 정책의 축으로 삼는 것은 한중 관계에 해를 끼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리카이성 국제문제연구소 부소장은 "윤 당선인의 대북정책은 아직 완전히 정립되지 않았지만, 한반도 정세 긴장이 고조될 가능성에 직면해 있다"면서 "이번 시 주석과의 통화는 한반도 안정과 지역 안정에도 의미가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전문가들은 윤 당선인과 시 주석 간 전화 통화 자체가 양국 최고 지도자들이 양국관계를 중시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시 주석이 당선인 신분의 외국 정상과 전화 통화를 한 것은 매우 드문 일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시 주석은 2016년 11월 당시 대통령 당선인 신분이었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했으나, 많은 경우 선거 결과 확정 후 당선인에게 축전을 보낸 뒤 취임 후 통화를 해왔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