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폴란드 군부대 방문 바이든 "우크라의 전쟁은 천안문 사건의 제곱"

현지 간담회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관련 비유

"푸틴은 전범의 법적 정의에 부함 '전범'" 재차 비판

26일(현지시간) 폴란드 대통령과 회동 후 미국 귀국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폴란드 제슈프에 파견된 미군 82 공수부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병사들과 피자를 나눠먹고 있다. AP연합뉴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폴란드 제슈프에 파견된 미군 82 공수부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병사들과 피자를 나눠먹고 있다. AP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ㅇ이 25일(현지시간) 폴란드와 우크라이나 국경을 방문 한자리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1989년 중국 톈안먼(천안문) 광장 사건에 비유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80㎞ 떨어진 폴란드 제슈프에 파견된 미군 82공수 부대와 피난민 지원 구호단체 관계자들과의 간담회에서 "톈안먼 광장에서 있었던 일을 얘기해본다면, 이 발언은 톈안먼 광장에서 일어났던 사건의 제곱"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우크라이나인들이 러시아를 상대로 보이고 있는 항전의 기개와 근성을 칭찬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바이든 대통령은 우크라이인들의 항전이 마치 30세 여성이 탱크 앞에 소총을 듣고 서 있는 것과 같다고 비유하기도 했다.

1989년 6월 4일 중국 당국은 베이징의 톈안먼 광장에서 민주화를 요구하며 연좌시위를 벌이던 학생·노동자·시민을 계엄군을 동원해 장갑차로 해산시키면서 발포해 수천명이 사상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해서는 "솔직히 말해 전쟁범죄자"라면서 "아마 이에 대한 법적 정의에도 들어맞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바이든 대통령은 폴란드 방문 목적과 관련 "나는 전쟁에 따른 인도주의적 참상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폴란드에 왔다"며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어 직접 볼수 없다는 점이 실망스러울 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피난민들을 재정착을 지원하기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며 "우크라이나 국경 안쪽과 바깥쪽이든 인도주의적 지원 필요한 모든 상황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방문한 군부대에서는 현지 주둔 중인 미군들과 함께 피자를 나누는 모습을 공개하기도 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전날 브뤼셀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주요 7개국(G7), 유럽연합(EU) 정상회의에 잇따라 참석해 러시아 대응 문제를 논의한 뒤 이날 우크라이나 국경 인근 제슈프에 착륙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폴란드로 비행하던 중 접견하러 나오던 안제이 두다 대통령을 태운 비행기가 중간에 비상착륙하면서 바이든 대통령의 전체 일정이 살짝 밀리기도 했다. 폴란드 축은 두다 대통령이 위험에 처했던 상황은 아니며, 기장의 결정에 따른 것이라고 간략히 설명했다.

폴란드 측은 이번 바이든 대통령이 방문을 계기로 미국의 기존 안보 보장을 더욱 강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분석했다. 나토 영토에 대한 침범이 있을 경우 이를 대응하고, 이를 위해 보다 많은 미군이 지역 내 주둔하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후 바르샤바로 떠나 26일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과 회담을 하고, 우크라이나 피난민 수용센터를 방문할 예정이다. EU 회원국이자 나토 동맹국인 폴란드는 지난달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224만명의 우크라이나 피난민을 받아들이고, 우크라이나에 재정적, 군사적 지원을 했다.


김흥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