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일·외교·안보

통일부, 北 핵실험 준비 동향에 "한미 모든 가능성 대비"

"北, 핵실험장 갱도 일부 복구…한미 당국 주시 중"

북한이 함경북도 길주군에 있는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폭파했던 갱도 중 일부를 복구하는 움직임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금강산에 있는 남측 시설의 철거를 일부 시작한 정황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은 지난 2018년 풍계리 갱도 폭파 모습. /연합뉴스북한이 함경북도 길주군에 있는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폭파했던 갱도 중 일부를 복구하는 움직임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또 금강산에 있는 남측 시설의 철거를 일부 시작한 정황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은 지난 2018년 풍계리 갱도 폭파 모습. /연합뉴스






통일부가 28일 북한의 핵실험 준비 동향과 관련해 "한미 공조를 바탕으로 모든 가능성에 빈틈없이 대비해 오고 있다"고 밝혔다. 이종주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2018년 5월 폭파했던 갱도 중 일부의 복구로 추정되는 활동이 식별돼 한미 당국이 주시해 오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관련기사



이 대변인은 "북한의 핵실험은 유옌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자 북한 스스로 국제사회에 약속한 모라토리엄을 파기하고 한반도와 국제사회에 심각한 위협을 야기하는 행위"라고 경고했다. 이어 "북한은 이와 관련한 모든 활동을 즉각 중단하고 우리와 국제사회가 제시해 온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올 것을 엄중하게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변인은 또 북한이 최근 '화성 17형'이라고 주장하는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장면을 편집한 의도와 배경을 묻는 말에 "과거와 다르게 보다 극적인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번 발사의 성과와 함의를 부각하려 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또 "북한의 의도가 무엇이든 간에 북한은 이번 발사와 같이 한반도에 긴장을 조성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대화와 협상의 길로 돌아와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24일 ICBM을 고각으로 시험발사한 뒤 25일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시로 발사했다고 대외에 알렸다. 이와 관련, 이인영 장관은 이날 오후 2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긴급 현안보고를 할 계획이다.


박경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