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우크라行' 해병대원 "부조리도 모른척…DP, 폴란드까지 와"

28일 라디오 전화 인터뷰 통해 피해 호소

의용병 지원차 출국…우크라이나 입국실패

현재 폴란드 체류중…"체포조, 찾아와 협박"

/사진=KBS 방송화면 캡처/사진=KBS 방송화면 캡처




우크라이나 의용군을 자원하겠다며 폴란드로 무단 출국했던 해병대 탈영병이 우크라이나 입국에 실패한 후 폴란드에서 체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국내 복무 당시 소속 부대에서 조리돌림 피해를 신고했음에도 군 당국이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고 폭로했다.

최근 휴가중 폴란드로 무단 출국해 우크라이나로 입국을 시도했던 해병대 병사 A씨는 28일 CBS의 한 라디오프로그램과 전화 인터뷰에서 이 같이 밝혔다. 그는 휴가중 무단으로 우크라이나행을 시도한 배경에 대해 “뉴스에서도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어린이집을 포격했다거나 민간인들을 무차별하게 학살하고 있다’고 그런 뉴스를 계속 찾아봐서 ‘이거는 진짜 한국법을 어기더라도 일단 가서 도와야 된다’는 생각밖에 안 들더라”고 설명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검문소를 통과하지 못했으며 현재 폴란드에 체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현지로 찾아간 우리측 대사관 직원들의 귀국 설득을 듣지 않고 잠적한 이유에 대해 우크라이나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갔기 때문에 그냥 돌아갈 수는 없다는 취지로 답변했다. 그는 탈영했다는 지적에 대해 “군인 신분으로서 아무리 탈영한 군인이어도 (우크라이나 국민들도) 같은 사람인데 죽어나가는 게 좀 마음이 아프고 걸린다는 게 있다”며 “그래서 뭐 탈영이라는 그런 범죄를 저지르고 일단 오게 됐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그는 폴란드 바르샤바 공항 도착후 미국·프랑스 출신 의용군 등의 조언을 받아 버스를 타고 폴란드-우크라이나간 국경까지 갔다고 전했다. 이어서 폴란드 경찰이 “지금 들어가면 죽는거나 마찬가지인데 다시 한 번 생각해보라”고 자신에게 설득을 시도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결국 그는 경찰의 도움을 받아 민간인 차에 동승해 국경에 들어갔으나 우크라이나 검문소를 통과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무단 출국 전 군에서 부조리를 당했고 이럴 바에는 전쟁 중인 나라에서 민주주의를 위해 싸우다 죽든지할 생각이었다는 글을 남긴 상태였다. 이와 관련한 라디오 진행자의 질문에 A씨는 “부조리를 당했던 것 같다”고 거듭 주장했다. 또한 자신이 처음에는 선임들에게 예쁨 받고 인정받았으나 부사관을 준비하기 시작하면서부터 ‘기수 열외’를 비롯한 투명인간 취급을 당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부사관을 준비한다는 이유로 당하는 게 좀 억울하기는 했다”고 호소했다. 그는 해당 부조리를 신고하는 ‘마음의 편지’를 썼다고 설명으나 간부들이 덮더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마음의 편지를) 작성하니까 부대에 대해서 경위서를 작성하게 하고 끝내더라”고 덧붙였다. 심지어 선임들로부터 ‘맞선임을 신고한 XX다’며 욕을 먹었다고 설명했다.

이후 폴란드로 무단입국해 탈영한 그는 현지로 해병대 수사관들이 찾아오기는 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제가 그렇게 (부대내 부조리 피해를) 신고했을 때 들은 체도 안 하던 사람들이 저 한 명 잡으러 바로 빨리 오더라"고 지적했다. 또한 “그 시간에 솔직히 우리가 신고했던 걸 더 빨리 조치를 해 줬으면 저 뿐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도 신고를 했을 건데. 그런 조치를 했었었으면 했었으면 뭔가 부대가 바뀌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현지에서 우리 군의 탈영병체포조인 일명 ‘D.P’들이 찾아와 이야기도 한 번 나누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D.P들이 달래주는 척 하면서 협박을 한다고 소개했다. 이어서 귀국하더라도 자진 귀국할 것이고, 자신이 선택하는 것에 대해 책임질 것이라고 밝혔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