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경기농기원, '경기도 과수화상병 매몰지 209곳 이용실태'분석 책자 발간

경기도 과수화상병 매몰지 이용실태경기도 과수화상병 매몰지 이용실태




경기도농업기술원은 ‘경기도 과수화상병 매몰지 보상 농가의 농지 이용실태’를 다룬 책자를 발간했다고 28일 밝혔다.

경기도에서 2015년 처음 발병한 과수화상병은 지난해 11월까지 524개 농가 296.5ha에서 확인됐다.



이 책자는 2015년부터 과수화상병으로 인한 매몰지 보상을 받은 도내 340 농가 중 과수원 매몰지 209곳을 대상으로 과수화상병 매몰지 이용 여부, 매몰지 미경작 이유, 매몰지 이용 형태를 결정하지 못한 이유 등을 조사해 그 결과를 담았다.

관련기사



과수화상병 매몰지 이용 여부를 조사한 결과 경작 중인 곳이 111곳(53.1%), 경작을 못 하고 있는 곳이 98곳(46.9%)이었다.

경작 중인 곳은 ‘기주식물(병원균에 기생 당하는 식물) 외 다른 작물을 재배하고 있다’는 곳이 106곳(50.7%), ‘장미과 과수를 다시 심었다’는 곳이 5곳(2.4%)이었다. 경작을 못 하고 있는 곳은 그 이유로 임대 계약 변경 47곳(22.5%), 매몰지 방치 17곳(8.1%), 매몰지 이용 형태 미결정 15곳(7.2%), 토지 처분 8곳(3.8%) 등을 들었다.

매몰지 방치 17곳에 대해 그 이유를 물었을 때 ‘투자 비용 부담’과 ‘과수원 임차인을 구하지 못함’이 각각 5곳(29.4%)으로 가장 많았다. 매몰지 이용 형태를 결정하지 못한 15곳은 ‘마땅한 대체 작물을 찾지 못했다’는 응답이 5곳(33.3%)으로 가장 많았고, ‘일부만 매몰해서’라는 답이 4곳(26.7%), ‘폐원 후 3년경과 때까지 대기할 예정’이 3곳(20.0%)으로 뒤를 이었다. 3년 경과를 기다리는 이유는 그 동안 발병한 곳에서 사과· 배 등 기주식물을 심을 수 없기 때문이다.

경기농기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후 변화, 소득 작물, 도내 적합 지역, 농작업 생력화(기계화·무인화 촉진), 유통 판매 등을 고려한 지역별 대체 작목을 발굴해 관련 지침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이영순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연구과장은 “과수화상병 매몰지 이용 구체적 대안 마련을 위한 농업인 대상 영농지도 교육과 홍보 활동을 지속적으로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