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삼성전자·TSMC "우리도 美 반도체 플레이어, 동등한 대우 해달라"

삼성전자가 미국 정부가 추진하는 52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지원 프로그램에 포함해달라고 촉구하는 의견서를 냈다./미 상무부 홈페이지 캡쳐삼성전자가 미국 정부가 추진하는 52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지원 프로그램에 포함해달라고 촉구하는 의견서를 냈다./미 상무부 홈페이지 캡쳐




삼성전자와 대만 TSMC가 미국 정부가 추진하는 520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지원 프로그램에 포함해달라고 촉구하는 의견서를 냈다.



미 의회가 관련 법안을 심사중인 가운데 자신들도 미국 내에서 막대한 반도체 투자를 하는 만큼 미국에 본사를 둔 인텔 등과 동등한 혜택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반도체 회의를 주재하면서 수차례 삼성전자의 투자를 언급한 바 있다.

관련기사



27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과 미 상무부 등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미국 내에서 반도체 생산을 늘리려는 법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에 가장 적합한 기업이 인센티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미국 정부는 미국 내 반도체 생산 능력을 높이는 기업들에게 본사 위치와 관계 없이 인센티브를 놓고 경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TSMC도 미 상무부의 의견 요청에 대해 "본사 위치에 기초한 자의적인 편애와 특혜 대우는 보조금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TSMC는 또 미국이 기존 공급망을 중복해서 만들려 해선 안 되고, 혁신을 추동하기 위해 외국 인재를 끌어들일 수 있도록 이민 정책을 개혁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TSMC와 삼성전자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분야의 세계 1, 2위 업체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출범초부터 반도체를 핵심 인프라로 보고 자국 내 제조 역량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왔다. 이와 관련 미 상원과 하원은 자국 내 반도체 생산 증대를 위해 520억 달러의 연방 자금을 지원하는 '미국경쟁법안'을 각각 처리했다. 하지만 상·하원이 처리한 법안의 내용이 달라 양원은 최종 조율을 위한 심사를 진행 중이다. 블룸버그는 5월 말까지는 최종 결론이 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과 TSMC가 이런 의견을 개진한 것은 인텔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인텔은 앞서 미국 납세자의 돈이 들어가는 만큼 미국에 본사를 둔 기업에만 인센티브가 제공돼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다만 팻 겔싱어 인텔 최고경영자는 최근 들어서는 이같은 언급을 삼가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워싱턴=윤홍우 특파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