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기·벤처

오미크론 유행 정점 지연 가능성 등으로 중기 4월 전망 지수 하락

중앙회 '2022년 4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

경기전망지수 전월보다 0.2P 하락한 84.7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로 서비스업은 큰폭 상승





오미크론 유행 정점 지연 가능성을 비롯해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해 4월 중소기업전망 지수가 하락했다. 다만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함에 따라서 일부 서비스업에서는 전망지수가 큰폭으로 상승했다.



30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중기 3150곳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에 따르면 4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는 84.7로 전월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 제조업의 경우 오미크론 유행 정점 지연 가능성이 대두되고 국제유가 및 원자재가격 급등의 영향으로 경기불안 심리가 확산하며 전산업 지수의 하락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조치를 완화함에 따라 일부 서비스업에서 경기전망지수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특히, 예술·스포츠및여가관련서비스업(16.8포인트)과 숙박 및 음식점업(13.3포인트)의 지수 상승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관련기사



제조업의 4월 경기전망은 86.5로 전월대비 3.5포인트 하락(전년 동월 대비 1.7포인트 하락)했고, 비제조업은 83.7로 전월대비 1.4포인트 상승(전년 동월 대비 7.2포인트 상승)했다. 건설업(80.0)은 전월대비 3.4포인트 상승했으며, 서비스업(84.5)은 전월대비 1.1포인트 상승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에서는 ‘비금속광물제품’(87.7→92.5), ‘자동차및트레일러’(91.4→94.6)을 중심으로 7개 업종에서 상승한 반면, ‘음료’(97.6→84.3), ‘식료품’(92.0→79.1) 15개 업종에서 하락하였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76.6→80.0)이 전월대비 3.4포인트 상승했으며, 서비스업(83.4→84.5)은 전월대비 1.1포인트 상승했다.

서비스업에서는 ‘예술,스포츠및여가관련서비스업’(75.2→92.0), ‘숙박및음식점업’(63.5→76.8)을 중심으로 5개 업종에서 상승한 반면, ‘운수업’(85.2→76.3), ‘출판,영상,방송통신및정보서비스업’(90.3→84.6) 5개 업종에서 하락했다.

3월 중기가 꼽는 주요 애로요인으로는 내수부진(59.6%) 비중이 가장 높았고, 원자재 가격상승(50.3%), 인건비 상승(47.7%), 업체간 과당경쟁(37.2%)이 뒤를 이었다.

연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