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시 "인터넷 판매 상위 산소포화도 측정기 90% 식약처 미인증" 집중 단속

한글로 '의료기기' 표시, 인증번호 확인 필요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은 의료기기 인증을 받지 않은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광고·판매하는 행위를 집중 단속한다고 31일 밝혔다.

산소포화도 측정기는 혈액 내 산소량을 측정해 산소가 우리 몸에 적정히 공급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의료기기로, 최근 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수요가 폭증했다.



서울시가 이달 주요 인터넷쇼핑몰 5곳의 산소포화도 측정기 판매 실태를 조사한 결과 각 판매량 상위 10개 제품 중 약 10%만이 식약처 인증을 받은 의료기기로 나타났다. 나머지 대부분의 제품은 외형이 의료기기와 유사하나 공인된 성능 검증을 거치지 않는 제품으로 확인됐다.

관련기사



서울시는 다음 달 중 미인증 산소포화도 측정기 제조·수입·판매뿐 아니라 의료기기가 아니면서 의료기기로 오인할 수 있는 광고 등을 특히 단속할 예정이다. 식약처 인증이 없는 측정기를 '본 제품은 의료기기가 아닙니다'라고 지칭하면서도 실제 광고에는 '산소포화도 측정기로 응급상황을 사전예방하세요'라고 표기하거나 의료기기 성능과 무관한 KC 인증 등을 내세워 코로나19 환자가 사용하도록 눈속임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검증되지 않은 산소포화도 측정기로 피해를 보지 않으려면 한글로 '의료기기'로 표시된 제품을 구매하고, 인증번호와 모델명도 확인해야 한다고 시는 조언했다.

불법 의료기기를 발견할 경우 스마트폰 앱('서울스마트불편신고'), 서울시 홈페이지('민생침해 범죄신고센터'), 전화('120다산콜재단') 등을 통해 신고하면 된다.

강옥현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장은 "부적합 제품으로 시민 건강이 위협받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불법행위 발견 시 엄중하게 수사하겠다"고 말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