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KTX 개통 18주년…8억8000만명 태우고 지구 1만3870바퀴 달려

국민 1인당 17번 이상 탄 셈

모바일과 비대면 문화가 바꾼 승차권 예매와 서비스 개선도 ‘눈길’

2004년 운행을 시작한 고속열차 KTX가 힘차게 달리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철도2004년 운행을 시작한 고속열차 KTX가 힘차게 달리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철도




2004년 4월 1일 전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운행을 시작한 대한민국 고속열차 KTX가 올해로 개통 18주년을 맞았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KTX가 18년간 경부선 등 전국 8개 노선에서 8억8659만명을 태우고 5억5465만㎞를 운행했다고 31일 밝혔다.



대한민국 5000만 국민이 한 사람당 17번 이상 KTX를 탄 셈이고 약 4만㎞인 지구 둘레를 1만3870바퀴 돌 수 있는 거리다.

모든 승객이 이동한 거리를 합치면 2262억㎞에 달한다.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1억5000만㎞)의 1,500배가 넘는다.

코레일은 2004년 경부선(서울~부산)과 호남선(용산~목포) 운행을 시작으로 고속철도 수혜지역을 전국 각지로 넓혀왔다.

2010년 경전선(서울~진주), 2011년 전라선(용산~여수엑스포), 2015년 동해선(서울~포항), 2017년 강릉선(서울~강릉), 2021년 중앙선(청량리~안동), 중부내륙선(부발~충주)까지 차례로 KTX가 개통됐다.

최고속도 300㎞의 KTX 등장으로 사람들의 이동과 만남이 간편해지면서 여행 문화와 생활패턴이 달라졌다. 여행지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여행 빈도가 늘어나면서 지역교류와 경제성장을 가속화하는데 기여했다.

서울과 주요 도시를 2시간 대로 연결하며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이됐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2시간 15분, 포항까지 2시간 16분, 마산까지 2시간 57분, 강릉까지 1시간 49분이면 갈 수 있다. 용산에서 광주송정은 1시간 30분, 여수엑스포는 2시간 44분 걸린다.



지난해 새로 도입한 국내 최초의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KTX-이음은 청량리에서 제천까지 1시간, 안동까지는 2시간이면 갈 수 있고 부발(이천)에서 충주는 35분만에 갈 수 있다.

관련기사



지난 18년 동안 KTX의 성장세는 괄목할만하다. 하루 운행횟수는 358회(주말 기준)로 개통 초기 132회에 비해 2.7배 이상 늘었고 20개였던 KTX 정차역은 66개가 됐다. 운행노선은 2개에서 8개로 늘었다.

하루 이용객은 7만2000명에서 2019년 18만명으로 2.5배까지 늘었으나 2020년부터 지속된 코로나 상황으로 지난해에는 일평균 13만 8천명 수준에 머물렀다.

하루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은 역은 5만5000명(2021년 기준)이 넘게 타고 내린 서울역이며 이어 동대구역이 일평균 약 2만4000명, 광명역이 2만명으로 집계됐다.

모바일과 연계한 승차권 구입도 갈수록 편리해졌다. KTX 개통 당시에는 전체 이용객의 85%가 역 창구에서 승차권을 구입했지만 지금은 85.5%가 모바일 앱 ‘코레일톡’ 등 비대면으로 발권한다.

특히 2020년 추석부터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명절 승차권 예매를 인터넷, 모바일앱, 전화 등 100% 비대면으로 전환하면서, 역 창구에 밤새 기다리며 승차권을 구하는 모습은 이제 볼 수 없게 됐다.

또한 코레일은 코레일톡 설치나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네이버, 카카오톡 등 고객이 자주 이용하는 포털과 플랫폼에서도 쉽게 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도록 제휴 채널을 확대하고 있다. 그간 코레일톡으로만 전달 할 수 있었던 승차권을 문자메시지와 카카오톡으로도 간편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KTX 고객은 모든 좌석에서 휴대폰, 태블릿PC 등 스마트 기기 충전용 콘센트와 USB 포트를 이용할 수 있다. 무료로 제공되는 무선인터넷(와이파이) 서비스는 오는 7월부터 속도가 3배 빨라진다.

나희승 코레일 사장은 “KTX의 300㎞ 속도는 시간과 공간을 압축한데 이어 관광, 비즈니스, 새로운 생활권을 탄생시키고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해 대한민국 대표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며 “지난 18년간 KTX를 응원해주신 국민들의 성원과 운영 노하우를 발판으로 새로운 도약을 준비해 세계적인 교통서비스 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