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해외증시

뉴욕증시, 고용호조·유가하락에 상승 마감…다우 0.40%↑[데일리 국제금융시장]

/AFP연합뉴스/AFP연합뉴스




미국 내 새로운 일자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는 3월 고용보고서에 힘입어 뉴욕증시가 상승 마감했다.



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39.92포인트(0.40%) 오른 34,818.27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날보다 15.45포인트(0.34%) 상승한 4545.86을 기록했다. 또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40.98포인트(0.29%) 오른 14,261.50으로 장을 끝냈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투자자들은 고용 보고서와 국채금리 움직임, 유가 하락세 등에 주목했다.

미국의 3월 비농업 부문 고용은 43만1000명 늘어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49만 명 증가를 밑돌았다. 하지만 2월 고용이 75만명 증가로, 1월 고용은 50만4000명 증가로 상향 수정되면서 올해 1분기 월평균 고용은 56만2000명 증가를 기록했다.

실업률은 팬데믹 이전 기록한 반세기래 최저치인 3.5%에 근접한 3.6%까지 내려갔다. 고용이 여전히 월 50만명 내외의 증가세 속에 실업률은 지속적으로 떨어지면서 고용은 여전히 탄탄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한편 투자자들은 채권시장에서 나오는 경기 침체 신호를 예의 주시 중인 가운데 2년물과 10년물 국채 수익률이 또다시 역전됐다.

장기물 국채금리가 단기물 국채금리 아래로 떨어지는 수익률 역전은 경기침체의 전조로 해석된다. 고용 지표 발표 후 2년물 국채금리는 2.468%까지 상승했고, 10년물 국채금리도 동반 상승해 2.454%까지 뛰어올랐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금리의 상승세가 고용 지표 이후 10bp 이상 올랐으며, 10년물 국채금리는 3bp 오른 수준으로 상승폭을 낮췄다.

장 마감 시점 10년물 금리는 2.373% 수준에서 거래됐고, 2년물 금리는 2.456% 근방에서 거래됐다.



이처럼 역전 폭이 확대되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예상보다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할 수 없을 수 있다는 목소리도 커졌다. 미 금리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5월에 기준금리를 50bp(=0.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고용 보고서 발표 전에 70% 근방에서 보고서 발표 이후 76% 수준까지 올랐다가 다시 73%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관련기사



한편 제조업 업황은 확장세를 유지했다.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한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7.1을 기록했다. 지난 2월 기록한 58.6과 전문가 예상치인 59를 밑돌았지만 50을 웃도는 확장세는 계속 견지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이 집계한 3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는 58.8로 전월치 57.3과 전문가 예상치 58.5를 모두 웃돌았다.

또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평화 협상에도 시장의 관심은 이어졌다. 양측은 이날 온라인 회담을 재개했지만 협상의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러시아 측은 우크라이나 군이 이날 러시아 서부 벨고로드 주(州)의 유류 저장고를 공습한 것을 언급하며 "협상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라고 경고하고 나섰다.

지정학적 불확실성에도 미국에 이어 국제에너지기구(IEA) 회원국들이 비축유를 추가로 방출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에 유가는 소폭 하락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지난 16일 이후 2주 만에 배럴당 100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S&P500지수 내 부동산, 유틸리티, 필수소비재, 자재(소재) 관련주는 상승했고, 산업, 금융, 기술 관련주는 내림세를 탔다.

게임스톱의 주가는 주식 분할을 추진하고 있다는 소식에 장중 크게 올랐으나 1%가량 하락 마감했다. 델 테크놀로지의 주가는 골드만삭스가 목표가를 내렸다는 소식에 3%가량 미끄러졌다. 윈 리조트의 주가는 씨티그룹이 투자 의견을 '매수'로 상향한 뒤 1% 이상 뛰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수익률 역전은 연준의 연착륙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지만, 당장 시장에 매도 신호는 아니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연준이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공격적인 긴축 기조에서 발을 빼지는 않으리라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트루이스트 어드바이저리 서비스의 키스 러너 전략가는 CNBC에 수익률 역전은 "연준이 제대로 연착륙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경고"라면서 "이는 타당한 우려"라고 상황을 짚었다.

그러면서 "그러나 대다수 (경제) 지표는 수익률 곡선 자체로는 (주식에) 단기 매도 신호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면서도 "시장의 주도주가 최근 며칠간 좀 더 방어적인 주식으로 이동하는 듯 보인다"고도 했다.

글렌메드의 프라이빗 웰스 부문 제이슨 프라이드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가장 큰 걱정거리"라면서 "연준은 시장과 경제 참가자들에게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겠다는 확신을 증명하기 위해 긴축 노선을 계속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라고 내다봤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5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상할 가능성은 73.3%를 기록했다. 6월 회의에서 50bp 금리 인상 가능성은 60.6%, 75bp 금리 인상 가능성은 19.9%를 기록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93포인트(4.52%) 하락한 19.63을 기록했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