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코로나 후유증 100만명…‘이 증상’ 지속되면 병원 가야

무증상 확진자도 후유증 앓는 경우 많아

“고열·호흡곤란·노란 가래 증가땐 내원을”

코로나 회복 클리닉. 하나이비인후과병원 홈페이지 캡처코로나 회복 클리닉. 하나이비인후과병원 홈페이지 캡처




코로나19 확진 판정 이후 오랫동안 후유증을 겪는 이른바 '롱코비드(long COVID)' 사례가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가운데, 박희열 명지병원 코로나 후유증 클리닉 교수는 확진자의 약 10%는 후유증이 있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



박 교수는 5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지금 1400만 명 정도 확진됐기에 앞으로 100만 명 정도는 코로나 후유증을 앓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확진 후 후유증의 양상에 대해 “거의 모든 환자분들에게 나타나는 증상은 피로감과 무기력증”이라며 “가장 힘들어하는 증상은 지속되는 기침, 가래, 가슴 답답함”이라고 꼽았다. 또한 수면장애, 멍한 느낌, 집중력 저하 등도 관찰된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피로감과 관련해서 “우리 몸에 염증 반응이 계속 지속되면 감기에 걸려 피곤한 것처럼 피로감이 지속된다”면서도 “다만 빈혈, 당뇨, 간질환, 갑상선 호르면 이상 등으로 인한 피로가 있을 수 있다. 때문에 후유증으로 인한 피로감인지 감별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박 교수는 ‘코로나 감염 이후 뇌세포가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것과 관련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지속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가 뇌 세포를 감염시켜서 손상을 드렸다는 확실한 증거는 아직 없다”고 말했다.

다만 “증상이 있는 사람들의 감염 전후의 뇌구조를 영상으로 비교했더니 구조적인 변화가 있었고, 또 뇌 손상을 의미하는 혈중의 간접 지표자들이 있다. 그런 것들로 봤을 때 어느 정도 영향이 있겠다는 보고가 많이 있다”고 전했다.

특히 박 교수는 무증상 확진자 중에서도 자가격리 해제 후 후유증을 앓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위험 요인이 없더라도, 어린 사람이라도, 무증상인 사람도 다른 병에 걸리지 않았음에도 몇 달 뒤에 계속 피로감, 두통 등이 있다는 보고들이 꽤 있다”며 “무증상의 경우 기침, 가래 증상이 없었으나 미세한 염증 반응은 남아 이런 것들이 향후 영향을 미쳐 피로나 무기력감 등이 오래 지속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제가 경험한 환자 중 가장 길게는 8개월 동안 만성피로감 및 통증을 호소한 사례가 있다. 검사했으나 다른 이상은 보이지 않았다”며 “코로나 후유증은 환자의 기저질환, 급성기 때 조직 손상 정도, 환자의 스트레스 취약 정도에 따라서 많이 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교수는 “병원에 꼭 와야하는 세 가지 경우가 있다”며 해당 환자들의 적극적인 내원 및 치료를 권했다. 그가 언급한 세 가지 사례는 격리가 해제됐음에도 증상이 되려 악화 양상을 보이는 경우와 기간과 무관하게 폐렴을 의심해 볼 수 있는 열(38.5도 이상)이 지속되거나 호흡 곤란 증상, 노란 가래 양 증가 등이 관찰될 때, 마지막으로 2~3주간의 극성 기간이 경과했음에도 증상이 지속적으로 남아있는 경우다.

김지선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