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ADB, 올 韓성장률 3.0%로 낮춰…물가는 1.9%→3.2% 상향

글로벌 인플레에 우크라 사태 악재까지

넉 달 새 물가 전망 1.3%p나 높여 잡아

인천항 아암물류1단지 전경.사진 제공=인천항만공사인천항 아암물류1단지 전경.사진 제공=인천항만공사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올해 한국의 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3.2%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반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3.1%에서 3.0%로 낮춰 잡았다.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과 우크라이나 사태가 국내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ADB는 6일 발표한 ‘2022년 아시아 경제 전망’에서 고유가와 식품 물가 상승 등 일시적 요인으로 인해 올해 한국의 물가 상승률이 3.2%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ADB는 지난해 12월 전망에서 올해 한국의 물가 상승률을 1.9%로 예측했다. 4개월 만에 물가 상승률을 1.3%포인트나 상향 조정한 것이다. 다만 상승 요인이 완화하면서 내년 물가 상승률은 2.0%로 전망했다.




ADB는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물가 상승률을 지난해 12월 2.7%로 예측했으나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는 3.7%로 높여 잡았다. ADB는 “우크라이나 사태의 직접적 영향은 중앙아시아에 집중되지만 에너지·식품 물가 상승 등으로 아시아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미국의 통화 긴축으로 인한 금융시장 불안정, 오미크론 변이와 같은 코로나19 변종 발생 등 불확실성 확대는 위험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올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3.0%로 하향 조정됐다. 이는 한국 정부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3.1%)보다는 낮고 한국은행의 2월 전망치(3.0%)와 같은 수치다. ADB는 한국 경제가 고용 시장 개선에 힘입은 민간 소비 회복세, 국가 간 이동 제약 완화, 미중 등 주요국 경기회복에 따른 수출 증가를 토대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일각에서는 올해 한국 성장률이 2%대에 머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와 무디스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등을 반영해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2.7%로 하향 조정했다.

한편 ADB는 아시아 개도국들이 성장 도전 요인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재정 투자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 세수 동원이 중요하다고 권고했다. 또 급성장한 디지털 경제와 관련한 효율적인 부가가치세제 도입, 조세 지출 최적화, 환경·보건 등 우선순위 분야에 대한 지원 등도 강조했다.


세종=권혁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