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커지는 수급 불안…시멘트 생산량 2분기 35% 늘린다

산업부, 시멘트업계와 수급 안정 대책회의

설비 추가가동·수출물량 내수전환

유연탄 러産 줄이고 호주産 비중 확대






정부와 시멘트 업계가 시멘트 공급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올 2분기 생산량을 전 분기보다 35% 이상 늘리기로 했다. 또 시멘트의 핵심 연료인 유연탄의 안정적 공급 차원에서 러시아산 비중을 줄이는 대신 호주산 비중을 확대한다.

관련기사



산업통상자원부는 6일 시멘트 업계, 시멘트 협회 등과 ‘시멘트 수급 안정을 위한 대책회의’를 열고 이 같은 대책을 논의했다. 업계에 따르면 겨울철 시멘트 업계의 친환경 설비 투자 확대와 예상치 못한 건설 공사 증가 등으로 지난달 평균 시멘트 재고는 70만 톤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봄철 건설 업계 성수기를 맞아 시멘트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넉넉지 않은 재고량에 수급 불안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시멘트 업계는 2분기 시멘트 생산량을 1분기(1055만 톤) 대비 35.7%(377만 톤) 늘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업체들은 시멘트 생산 설비인 ‘킬른(소성로)’ 10기를 추가로 가동해 총가동 규모를 지난달 22기에서 이달 32기로 늘릴 방침이다. 또 월평균 약 38만 톤 규모인 수출 물량도 내수로 전환해 국내에 우선 공급한다.

시멘트 업계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에 따른 유연탄 공급망 불안에 대응한 대체 물량 확보와 연료 전환 등도 추진한다. 우선 호주산 수입 비중을 확대하기로 했다. 러시아와 호주산 유연탄 수입 비중은 지난해 각각 75%, 25%에서 올해 1분기 54%, 46%로 조정됐다. 업계는 이를 통해 지난달 말 기준으로 2개월 치 분량인 유연탄 재고 55만 톤을 확보한 상태다. 중장기적으로는 순환 자원, 바이오매스 등 친환경 연료 전환을 유도해 유연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계획이다.


세종=양철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