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미·영·호주, 극초음속 미사일 협력…중국 "제2의 우크라 사태 원하냐" 반발

오커스, 핵잠수함 이어 협력 분야 넓히기로

중·러보다 뒤처진 '극초음속 미사일' 협력 포함

美는 같은 날 대만에 방공시스템 판매안 승인

中 "또 다른 우크라이나 사태 보고 싶나" 반발

피터 더턴 호주 국방장관이 지난해 11월 22일(현지 시간) 캔버라의 의사당에서 자국 주재 미국·영국 대사가 참석한 가운데 해군 핵추진정보협정 교환 협정서에 서명하고 있다. AFP연합뉴스피터 더턴 호주 국방장관이 지난해 11월 22일(현지 시간) 캔버라의 의사당에서 자국 주재 미국·영국 대사가 참석한 가운데 해군 핵추진정보협정 교환 협정서에 서명하고 있다. AFP연합뉴스





미국·영국·호주가 창설한 군사안보협의체 ‘오커스(AUKUS)’가 극초음속 미사일 협력에 나선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미국이 러시아·중국보다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는 무기인 만큼 앞으로 미국이 관련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5일(현지 시간) 공동 성명을 내고 극초음속 미사일, 대(對)극초음속 요격체, 전자전 역량과 관련한 3국 협력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오커스는 중국의 인도태평양 지역 내 군사력·영향력 확대를 견제하기 위해 지난해 9월 결성한 군사안보협의체다. 당시 미국은 협력의 1단계 조치로 호주에 핵추진잠수함을 지원하기로 했는데 협력 분야가 더 넓어진 것이다.

극초음속 미사일은 현재의 레이더 탐지 기술로 요격하기 어려워 ‘게임체인저’라고 불리는 막강한 무기로 미 의회조사국(CRS)은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과 달리 러시아·중국이 핵탄두를 탑재한 극초음속 무기를 보유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한편 미국은 이날 대만에 대한 무기판매안을 승인하며 중국 군사력 견제에 속도를 냈다. 로이터통신은 미 국방부가 대만에 9500만 달러(약 1157억 원)에 달하는 패트리엇 미사일 방공 시스템의 잠정 판매안을 승인했다고 보도했다. 장준 주유엔 중국 대사는 미국의 오커스 발표 이후 “또 다른 우크라이나 사태를 보고 싶지 않다면 비슷한 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 역시 미국의 무기판매안 승인에 대해 ‘하나의 중국’ 원칙에 위배된다며 “결연히 반대하고 강렬하게 규탄한다”는 입장을 냈다.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