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코로나로 5000명 실직"…노선버스 4.5만대, 26일 운행 멈춘다

노선버스 주축 자동차노조, 19일 파업 찬반투표

업체 경영난에 직원들 어려움 …“정부 지원나서야"

작년 11월 2일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 앞에서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 관계자들이 '경기도 버스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작년 11월 2일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청 앞에서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 관계자들이 '경기도 버스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 노선버스 4만5000대 버스기사가 26일부터 파업을 예고했다. 이들은 2년 넘게 이어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실직과 임금 하락을 견디지 못할 상황이라고 정부에 적극적인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7일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에 따르면 산하 전국 20개 지역노조 대표는 5일 대표자 회의를 열고 18~19일 파업찬반투표를 하기로 했다. 만일 파업이 결정되면 이들은 26일 첫차부터 운행을 멈춘다. 전 조합원이 파업에 동시에 참여하면 전국 500여개 업체의 노선버스 4만5000여대가 파업 종료 시한을 정하지 않고 26일부터 운행을 중단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노조가 파업을 결정한 이유는 장기화된 코로나19 사태 때문이다. 연맹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조합원 5000여명 넘게 일터를 떠났다"며 "현재 실질임금은 물가인상률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상황을 개선할 정부의 재정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업체별로 경영난이 심화되면서 노조원의 어려움이 더 가중됐다는 지적이다. 노선버스 운영은 민간업체가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노선버스의 공공서비스 성격상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파업이 실제로 이뤄질 가능성은 낮지 않다. 각 지역노조는 단체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합의를 이룬 곳이 많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2019년에도 처우 개선을 위해 전체 파업을 결의한 바 있다. 작년 11월에는 연맹 산하 경기지역노조가 수능일 전 파업을 예고했다가 극적으로 합의를 이뤘다.

세종=양종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