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대전시, 대전산단 대개조사업 지역추진 주체와 맞손

7일 대전시·20개 지역추진주체 ‘대전 산단 대개조’ 업무협약 체결

스마트 그린산단 및 R&D 인프라 구축…국비 3000억원 규모 공모 신청

허태정(왼쪽에서 열번째) 대전시장이 20개 기관가 대전산단 대개조사업 성공적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대전시허태정(왼쪽에서 열번째) 대전시장이 20개 기관가 대전산단 대개조사업 성공적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대전시




대전시는 7일 대전시청에서 2022년 대전산단 대개조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20개 기관 지역 추진주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참여한 ‘지역 추진주체’는 △충남대·한남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 △대전상공회의소·대전산단관리공단·대덕산단관리공단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한국산업단지공단 충청지역본부·LH 대전충남지역본부 △대전테크노파크·대전과학산업진흥원·대전정보문화산업진흥원·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대전관광공사 등 20개 기관·단체로 구성돼 있다.

협약 참여 기관들은 대전의 대표 노후 산단인 대전산업단지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우수한 혁신역량을 연계해 대전산업단지를 지역 일자리 거점으로 조성하는 대개조 사업 추진에 긴밀하게 협력하기로 했다.

산단 대개조 사업은 2019년 11월 발표된 ‘정부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에 따라 추진되고 있고 국내 제조업 중심의 노후화된 산업단지를 '지역산업 혁신거점'으로 집중 지원하는 지역 일자리 창출사업이다.



지역이 주도적으로 산업단지 중심의 지역일자리 거점 혁신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중앙 정부는 부처별 사업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정부 합동 공모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다.

관련기사



2020년에 5개소, 2021년 5개소가 대개조 산단으로 선정됐다. 올해도 5개소를 추가로 선정할 예정이다.

시는 4대 중점과제, 8개 실천과제, 37개 세부사업 구성된 3000억원 규모의 ‘산업단지 중심의 지역 일자리 거점 혁신계획’을 수립하고 정부 공모에 참여할 예정이다.

시는 대전산업단지를 거점산단, 대덕연구개발특구는 연계산단, 충남대와 한남대를 연계지역 지정하고 거점산단과 연계산단간 협력을 통한 선순환 기업성장 생태계를 구축해 지역경제의 새로운 동력 확보를 확보한다는 구상을 계획에 담아냈다.

세부적으로는 4대 중점과제인 △초연결 네트워크 구축으로 개발형 혁신산단 조성 △인프라 혁신으로 그린산단 조성 △제조혁신으로 디지털산단 조성 △근로환경 혁신으로 청년과 인재가 모이는 휴먼산단 조성을 실현해 2025년 산업단지 생산액 19조2030억원(24% 증가), 산업단지 일자리 5만1927명(26% 증가)을 목표로 하고 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산업부와 국토부가 정부 합동으로 추진하는 산업단지 대개조 공모사업은 대덕연구개발특구의 혁신역량을 대전산업단지와 접목해 지역경제에 새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큰 기회”라며 “대전시, 산·학·연·공의 ‘지역 추진주체’가 힘을 모으고 협력해 대전산단을 혁신산업단지로 전환하고 양질의 지역 일자리 창출을 이끄는 K-제조업 성장 거점으로 반드시 조성하겠다”며 산업단지 대개조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시는 정부 일자리위원회가 주관하고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진행하는 '2022년 산단대개조 지역후보지 선정' 공모에 12일 신청할 계획이다.

올해 산단 대개조 지역은 4월 26일 노후거점산단 경쟁력강화위원회 심의를 통해 최종 선정될 예정이며, 선정될 경우 부처별 예산을 3년간 패키지로 집중 지원받게 된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