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문 앞에 적힌 소름 돋는 숫자 '5759'…드러난 사건의 전말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캡처/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한 아파트에서 각 세대 소화전에 여성과 노약자 위주로 입주민들의 이름이 적혀있는 것을 발견했다는 주장이 나와 논란이 확산하는 가운데 해당 사건의 범인은 우체국 직원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7일 매일경제에 따르면 서울 송파경찰서는 최근 '아파트 괴담' 속 주민 이름을 적어놓은 인물이 송파우체국 소속 직원 A씨인 것을 확인했다.

보도 내용을 보면 A씨는 등기 우편물 배달 시 업무상 편의를 위해 서울 송파구 아파트 단지에서 각 세대 앞 소화전에 거주자의 이름을 써놨다.

경찰은 지난 5일 신고를 접수 받고 해당 아파트를 방문해 폐쇄회로(CC)TV 영상 분석을 통해 A씨를 용의자를 특정했다.

A씨는 경찰에 배달 편의를 위한 관행이었다고 해명했고, 경찰은 배달 업무를 하는 과정에서 종종 발생하는 일로 판단하고 출동 당일 사건을 종결 처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할 우체국은 입주민 측에 별도의 사과 공문을 보낼 예정인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 이번 사건은 지난 6일 아파트 입주민이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글을 올리면서 세간의 관심이 모아졌다.

내용을 보면 입주민 B씨는 지난 2일 소화전 윗부분에 생후 7개월 된 자신의 아이 이름이 적혀있는 것을 발견했다. 단순히 택배 기사나 다른 배달원이 적었다고 하기에는 너무 이상하다는 생각이 든 B씨가 다른 세대까지 확인해 본 결과 B씨가 사는 동 건물의 1층을 뺀 모든 층 각 세대 앞 소화전에 이름이 적혀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에 B씨는 각 세대에 요청을 구해 이름을 비교했고, 현재 거주하고 있는 주민 이름과 같다는 점을 확인했다.

관련기사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캡처/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남성의 이름이 적힌 경우는 매우 적었으며 주로 여성과 자녀, 노약자 이름이 적혀있었다는 B씨는 "가장 무서운 점은 우리 집 현관문 바로 옆에 '5759', 맞은편 벽에는 '9575'라는 숫자가 적혀있었다"며 "검색해보니 고대 히브리어로 '어린아이, 유아, 젖먹이' 라는 뜻"이라고 상황을 전했다.

또 다른 몇 개의 동을 돌아다니며 소화전 윗부분에 이름이 적혀있는 것을 확인했다는 B씨는 "모든 동을 다 돌아본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조사한 것만으로도 충분히 전 세대에 이름이 적혀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B씨는 경비실에 신고해 "증거가 될 수 있으니 낙서는 지우지 말고 경찰에 신고할 수 있도록 조치해달라"고 요청했고, 경비실은 이를 관리사무소에 전달했다.

하지만 관리사무소는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고 B씨가 거주하는 동에 적힌 이름을 지웠다고 한다.

B씨는 "관리사무소에 따져 물으니, 내가 걱정해서 우리 집만 지웠다고 했다"면서 "확인해보니 총 4개 층에 적힌 이름을 지웠더라. 관리사무소는 이 사항에 대해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아울러 B씨는 "관리사무소는 경찰에 신고하고 범인을 잡기보단 이 상황을 쉬쉬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여서 내가 직접 주민에게 심각함을 알리고자 이 안내문을 작성했다"며 "입주민의 이름이 유출돼 타인이 인지하고 있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기에 덧붙여 B씨는 "아파트 전체에 입주민 이름이 적힌 부분을 경찰에 신고하고자 한다"며 "각 세대 소화전 윗부분 확인 부탁한다. 증거가 될 수 있는 부분이니 당분간 지우지 말고 사진 찍어 남겨놓길 바란다"고 적었다.

해당 사연을 접한 네티즌들은 "소름 끼친다", "공포영화의 한 장면 같다", "너무 무섭고 섬뜩하다" 등의 반응을 이어갔다.

한 네티즌은 '9575'라는 숫자를 두고 "젖먹이의 반대니까 노인을 의미하는 거나 '5759'를 반대로 쓴 것 같다"고 추측하기도 했다.


김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