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적합 38%·부적합 22%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생산성본부 건물에 마련된 국회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에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권욱 기자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한국생산성본부 건물에 마련된 국회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에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권욱 기자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윤석열 정부의 초대 총리로 적합하다고 보는 여론이 38%로 8일 집계됐다. 부적합하다는 의견은 22%였다.

한국갤럽이 5~7일 전국 만 18세 이상 1400명을 대상으로 한 후보자가 총리로서 적합한지 여부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한 후보자가 적합하다는 의견은 문재인 정부 초대 총리 후보자였던 이낙연 전 총리(60%)보다는 낮다. 다만 박근혜 정부 초대 총리였던 정홍원 전 총리(23%)보다는 15%포인트 높다.

관련기사



이번 조사에서 눈에 띄는 부분은 한 후보자의 자질을 두고 의견을 유보한 비율(39%)이 적합하다는 의견보다 높은 점이다. 한 후보자의 재산 형성에 대한 논란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준비단은 전날 국회에 인사청문 요청안을 제출했다. 요청안에 따르면 한 후보자는 본인 명의 재산 58억 9212만 원과 배우자 최 씨 명의 재산 23억 6725만 원 등을 포함해 총 82억 5937만 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 4월 주미대사에서 물러난 뒤 신고한 재산보다 약 40억 원 늘어난 규모다. 전체 재산 가운데 예금만 약 52억 원이었다.

또 한 후보자는 공직 퇴임 이후 김앤장 법률사무소에서 약 4년간 고문으로 일하며 18억 원가량의 고액 보수를 받은 사실이 나왔다. 여기에 과거 통상 분야 고위직으로 일할 당시 서울 종로구에 보유한 단독주택을 외국계 기업에 임대한 점도 논란이 되고 있다. 한 후보자는 이날 취재진을 만나 재산과 관련해 “청문회에서 성실하게 잘 설명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인사청문회특별위원회를 꾸리고 송곳 청문회를 예고했다. 위원은 3선의 남인순 의원, 재선의 신동근·강병원 의원, 초선 김의겸·김회재·이해식·최강욱 의원이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