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책·제도

시멘트업계, 2분기 시멘트 생산 36% 확대 “성수기 앞두고 수급관리”

국토부-산업부, 업계 간담회…"주 단위로 수급 동향 점검"

서울시내 한 시멘트공장에 시멘트 수송을 위한 화물열차와 트럭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서울시내 한 시멘트공장에 시멘트 수송을 위한 화물열차와 트럭이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건설자재 수급 불균형을 막기 위해 시멘트 업계가 2분기 시멘트 생산량을 전분기보다 36% 늘린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시멘트협회와 레미콘협회, 건설협회 등 업계와 합동 간담회를 열고 시멘트레미콘 수급이 건설현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해 이 같이 협의했다.



국토부는 이날 유연탄·골재를 비롯한 원자재와 시멘트·레미콘의 생산·수요 및 재고량 등 건설자재의 수급 동향을 점검한 결과 원자재 수급에는 큰 문제가 없어 현장의 시멘트 및 레미콘 부족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파악했다. 다만 국토부는 이달부터 건설공사 성수기기 시작되는만큼, 공사에 필요한 자재 수요가 일시적으로 급증해 시장의 불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 시멘트·레미콘 제조업계에 안정적인 자재 수급관리를 위한 생산 확대를 요청했다.

관련기사



시멘트 업계는 생산설비 추가 가동, 수출 물량의 내수 전환, 수입국 다변화를 통한 유연탄 수급관리 등 조치를 통해 2분기 시멘트 생산량을 1분기 대비 36% 확대하기로 했다. 이번 결정에 따라 시멘트 생산량은 1분기 1055만톤에서 2분기 1432만톤으로 늘어날 예정이다. 업계는 철도 운송 확대 등 시멘트 물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방안도 함께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국토부와 산업부는 건설자재별 생산량과 재고량 등의 정보가 업계에 원활히 공유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시멘트·레미콘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조치하기로 했다. 아울러 골재 공급원 확대 및 품질기준 강화를 통해 레미콘 원료인 양질의 골재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대응하고, 자재 수급 불안에 따른 건설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협회 등을 통해 공사계약 조정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중장기적으로는 물가 변동에 따른 계약조정 등 제도개선 방안도 검토할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관계 부처 및 업계와 긴밀히 협조해 자재 수급으로 인한 건설공사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 단위로 수급 동향을 점검하고, 업계와 지속적으로 간담회를 열어 시장 변동에 적시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