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유엔 인권이사회서 퇴출·석탄 수입 금지…러시아 옥죄는 서방

국제사회 對러 압박 수위 높여

긴급특별총회서 자격정지 가결

EU, 선박 출입금지 등 5차 제재

로이터연합뉴스로이터연합뉴스




우크라이나에서의 민간인 학살 혐의를 받는 러시아가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퇴출당했다. 유럽연합(EU)도 러시아산 석탄 수입을 금지하는 추가 제재안에 합의하는 등 러시아를 상대로 한 국제사회의 압박이 한층 강화되는 모양새다.

유엔총회는 7일(현지 시간) 개최한 긴급 특별총회에서 러시아의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 자격을 정지하는 결의안을 찬성 93표, 반대 24표, 기권 58표로 가결했다. 결의안이 가결되기 위해서는 유엔 회원국 3분의 2(불참 및 기권 제외)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이날 표결에 앞서 세르히 키슬리차 유엔 주재 우크라이나대사는 “우리는 오늘 이사회를 침몰로부터 구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면서 “우크라이나에서의 러시아의 행동은 전쟁범죄이자 반인륜적 범죄”라며 결의안 가결을 촉구했다.

관련기사



유엔 회원국이 인권이사회에서 쫓겨난 것은 2011년 리비아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당시 유엔총회는 반정부 시위대에 대한 무아마르 알 카다피 정권의 무력 진압을 이유로 리비아를 퇴출했다.

이날 반대 표를 던진 국가는 중국과 이란·벨라루스·시리아 등이었다. 장준 유엔 주재 중국대사는 “일부 국가들은 평화에 대해 큰 소리로 이야기하면서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긴장을 자극하는 등 블록 대립을 조성하는 데 집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부차에서의 학살 관련 보도에 대해서도 사실관계가 검증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러시아에 대한 서방국가들의 추가 제재 움직임도 계속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EU는 이날 러시아산 석탄 수입 금지 등을 담은 5차 대러 제재안에 합의했다. EU가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제재에 합의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U는 4개월의 유예 기간 후 러시아산 석탄을 차단하는 이번 조치로 러시아가 연간 40억 유로 상당의 손실을 입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제재안에는 이 밖에도 러시아의 트럭과 선박의 EU 출입을 금지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블룸버그는 EU 회원국들이 6차 제재안에 대한 논의를 이미 시작했으며 여기에는 석유 제재가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일본도 러시아산 석탄 수입 금지를 고려하고 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하기우다 고이치 경제산업상은 8일 주요 7개국(G7)과 함께 러시아 제재 강화에 동참하면서 러시아산 석탄 수입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겠다고 밝혔다. 그는 “재생에너지와 원자력 등 에너지원 다변화를 추진해 대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더욱 노력할 것”이라며 “최종적으로는 (러시아로부터의) 수입 중단을 목표로 삼겠다”고 말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