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지선 이후로 미루나…김현숙 "여가부 개편시기 예단 어렵다"

박근혜 정부 靑출신 연금개혁 전문가

김 후보자 "충분한 의견수렴 후 할 것"

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김현숙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 /연합뉴스




'여성가족부 폐지'를 공약했던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0일 초대 여가부 장관으로 김현숙 대통령 당선인 정책특보를 내정했다. 김 후보자는 윤 당선인 정책특보를 맡아 여가부 폐지, 저출산·고령화 관련 정책 부분을 담당해 왔다.

김 후보자는 이날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서 '여가부 폐지'와 관련한 부처 개편 시기를 묻는 질문에 "부처가 언제 개편될지는 지금 예단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이어 김 후보자는 "제가 수년 전에 19대 국회 때 여성가족위원회 간사로 활동하며 여가부 업무를 해 봤지만, 그동안 시간이 많이 진행됐기 때문에 새로운 시대에 맞게 젠더 갈등이나 세대 갈등을 다 풀어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가족 문제의 경우도 아시다시피 일인 가구도 있고 굉장히 다양한 가구가 있으니까 새로운 시대에 맞게 만들어 가면서, 낮은 자세로 국민과 소통하고 야당과 화합하고 미래를 열 수 있는 새로운 부처로 갈 수 있도록 충분한 의견 수렴을 하겠다"며 "그렇기 때문에 언제 부처가 개편될지에 대해 지금 말씀드리는 건 조금 이르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김 후보자는 보수진영 내 대표적인 조세·연금 전문가로 19대 국회에서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비례대표 의원을 지낸 뒤 박근혜 정부에서 고용복지수석비서관으로 일했다.

비례대표 의원으로 정치권에 입문한 뒤 줄곧 당 공무원연금제도개혁 태스크포스(TF), 국회 공무원연금개혁특위 국민대타협기구 위원 등으로 일하면서 박근혜 정부의 대표 개혁과제였던 공무원연금 개혁안 처리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 박근혜 정부에선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부터 여성·문화 분과 인수위원으로 발탁돼 여성 정책을 설계·입안했다.

박근혜 정부의 청와대 고용복지수석으로 일할 당시엔 노동개혁 법안을 주도적으로 추진해왔다. 그러나 해당 법안이 국회 상임위 문턱도 넘지 못하자 브리핑을 자처해 "일자리 창출에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듯이 노동개혁에도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고 말한 뒤 울음을 터뜨린 일도 있다.

김 후보자는 존폐기로에 놓인 여가부의 그간 운영상 문제점과 함께 저출생 등 인구 문제와 가족정책 해결 방안도 찾아야 하는 과제를 안았다.


김민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