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소상공인 연일 만나는 안철수…50兆 보상 놓고 고민

9일 코자총 면담·10일 통인시장 방문

安 “국세청 자료로 정확한 피해 추산”

4%대 물가에 추경 규모 축소 전망

안철수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이 10일 서울 종로구 통인시장 내 한과 가게에서 강정을 구입한 뒤 계산하고 있다. /연합뉴스안철수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이 10일 서울 종로구 통인시장 내 한과 가게에서 강정을 구입한 뒤 계산하고 있다. /연합뉴스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이 이틀 연속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자영업자·소상공인을 만나 온전한 손실보상을 재차 약속했다. 인수위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한 손실보상을 위한 2차 추가경정예산안 편성을 준비하고 있지만 최근 물가 등 거시경제 여건이 나빠진 만큼 재원 마련 방안 등을 두고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인수위는 10일 안 위원장이 서울 종로구 통인시장을 방문해 소상공인·자영업자 현장방문 간담회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날 안 위원장은 시장 상인들을 만나 “정확한 손실보상을 위해 일하고 있다”며 “현장 목소리를 들려주면 이를 바탕으로 인수위 내부에서 심도 있게 논의해 최종 결정권자인 당선인에게 제대로 말하겠다”고 설명했다.

인수위는 9일에도 코로나 피해 자영업자 총연합회(이하 코자총)를 만나 손실보상 논의를 진행했다. 한국외식업중앙회 등 14개 소상공인 협회로 구성된 코자총은 지난 8일 입장문을 통해 “50조 원은 온데간데없고 35조 원이 대세로 굳어지고 있다”며 “불이행 시 100만 자영업자 투쟁이 불가피하다”고 인수위를 압박했다. 안 위원장은 면담에서 “국세청에서 자료를 받아 정확한 손실 규모를 파악하고 경제1분과에서 경제에 지장이 없는 방식이나 시기를 찾고 있다”며 이들을 달랬다. 11일엔 정부가 피해 규모를 잘못 산정해 손실보상금을 반납한 소상공인도 만나 의견을 듣기로 했다.

하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년 3개월 만에 4.1%를 기록한 만큼 2차 추경안 규모가 조정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윤 당선인이 공약한 대로 50조 원 규모의 손실보상이 이뤄지면 시중 유동성이 한꺼번에 풀려 물가를 더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경 재원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국채를 발행하면 미국의 긴축 가속으로 가뜩이나 불안한 금융 시장도 흔들릴 수 있다. 인수위는 돈을 풀면서 물가를 잡는 고차방정식을 풀어야 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새 정부가 출범하는 5월 10일 이후 2차 추경안을 국회 제출한다는 방침이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