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문화

박보균 문체부 장관 후보, 40년 언론인 길…"블랙리스트 있을 수 없다"

[尹 정부 1차 내각 인선]

언론개혁·문화진흥 방점둔 인사

"언론인들 자유·책임 조화 필요"





윤석열 정부의 초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 내정된 박보균(68·사진) 후보자는 중앙일보 출신으로 40년 이상 언론계에 종사했다. 이에 대해 윤 정부의 당면 과제인 언론 개혁을 추진하고 문화산업 진흥에 방점을 둔 인사라는 지적이 나온다.



박 후보자는 1981년에 중앙일보에 입사한 뒤로 40년 넘게 정치부장·편집국장·편집인 등을 지냈다. 2011년부터 2년간은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회장을 역임하면서 여야에 두루 인맥을 갖고 있다.

지난해 7월 국민의힘에 입당한 직후인 8월 4일 대선 캠프에 합류해 특별고문을 지내는 등 언론계 출신 인사 중 윤 당선인의 의중을 잘 아는 측근 중 한 명으로 분류된다. 윤 당선인은 그동안 ‘공정과 상식의 회복을 위한 미디어 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는데 이를 이룰 적임자로 언론인을 발탁한 셈이다.



박 후보자는 1889년 미국 워싱턴DC 인근에 건립된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을 매입하기까지 산파 역할을 한 이력도 있다. 2005년에 펴낸 저서 ‘살아 숨 쉬는 미국역사’에서 공사관 반환의 당위성을 공론화해 실제로 이를 매입하는 데 일조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관련기사



윤 당선인은 10일 서울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자회견장에서 “미국 워싱턴DC에 있던 19세기 말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의 문화적 가치와 외교·역사적 의미를 발굴해 재조명하고 공사관이 국가의 품으로 돌아오도록 기여한 분”이라며 “언론과 소통이 원만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소개했다.

이와 관련해 박 후보자는 이날 윤 정부의 언론 정책 기조에 대해 “언론인들이 자유와 책임이 조화를 이루면서 어느 때는 어울리고 충돌하는 그런 개념을 잘 엮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과거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인 ‘블랙리스트’ 사건과 관련해서는 “과거의 어떤 악몽 같은 기억이니까 윤 정부에서는 그런 것이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순수 언론인 출신으로 그동안 문화나 체육·관광 분야에서 직접적인 역할이 없었다는 점에서 논란의 소지가 있다. 문화계 한 인사는 “문체부 장관의 자천 타천 명단에 박 후보자가 오른 일이 없어 다소 당혹스럽다”고 전했다.

◇약력 △1954년 서울 △경동고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중앙일보 정치부장 △〃 편집국장 △〃 대기자 △〃 편집인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회장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특별고문

최수문 기자


최수문기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